몽골에도 장애인이 있다. 그러나, 현재 장애인에 관한 정책 및 서비스 전달은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몽골의 수도이자 유일한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울란바토르 시에조차 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이 단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은 현재 몽골의 장애인복지 수준이 얼마나 열악한지를 추측할 수 있게 한다.
주한 몽골대사 페렌레이 우르쥔훈데프는 몽골의 장애인을 15~20만명 정도로 추산한다. 그러나, 몽골 인구의 50%가 유목민이기 때문에 정확한 인구조사가 불가능, 다른 국가들의 장애인 발생비율을 참고로 인구의 10% 정도라고 추산할 뿐이다. 또한, 몽골은 라마불교를 국교로 하자는 움직임이 있을 정도로 국민의 상당수가 라마불교를 숭상하고 있다. 따라서, 몽골인들의 의식 속에 ‘장애’ 라 함은 ‘전생에 진 죄에 의한 죄값’ 이라고 각인되어 있는 것이다. 울란바토르 시 거리에서 장애인을 만나기 어려운 것도 이처럼 ‘장애’ 는 드러내놓기 부끄러운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몽골의 장애인 실태 파악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몽골에서는 장애를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정신장애 4가지로만 구분, 그 외의 장애와 장애 심각정도의 구분이 없다. 이에 대해 (재)파라다이스복지재단의 고등영 사무국장은 “몽골인은 오랜 유목생활 탓에 언어가 발달되지 않아 사용하는 단어의 수가 매우 적다. 따라서, 장애명이나 장애등급을 몽골어로 번역하는데 적절한 단어가 없어 결국 몽골에서의 장애 구분이 구체화, 세분화 되지 못했다.” 라고 설명했다. 또한, 고 사무국장은 울란바토르 시의 한 특수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진단을 경험을 통해 “몽골에서는 장애개념 자체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특수학교를 다니는 학생들 10% 만이 장애를 가진 학생이었다. 90%는 각 발달단계에서 정상적인 학습을 받지 못해 생긴 학습부진아였다” 라고 밝혔다.
한편, 몽골에서의 장애는 의료기술 부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몽골의 전체 병원과 의원수는 약 500여개에 불과하다. 게다가 국가경제가 어려워 의약품 공급이 되지 않아 병원에서도 진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경미한 질환을 가지고도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심각한 장애로까지 가는 경우가 많다. 
현재 몽골 장애인 정책에서 가장 시급한 것에 대해 (재)파라다이스복지재단의 고등영 사무국장은 “장애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장애 원인을 파악, 예방책이 강구되어야만 국제적인 지원도 받을 수 있다” 고 했다. 아울러 경기도장애인복지시설협회의 박재호 팀장은 “무엇보다 장애인들을 위한 전문적인 시설을 마련, 장애인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 및 다양한 지원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라며 전문시설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최근 몽골에도 민주화 바람이 불면서 선거철마다 장애인 복지정책과 편의시설에 관한 공약들이 나오고 있어  앞으로 몽골 장애인복지의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