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등록비율은 8.3%뿐. 대부분의 치매노인들은 가정 내 방치돼 있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침대에 누워있는 사진 속 치매 어르신의 뒷모습이 쓸쓸해보인다.
*늙고 병든 사람을 구덩이 속에 버려두었다가 죽는 것을 기다려 장사지냈다는 고려장. 이러한 고려장이 부활(?)하고 있다.
 
‘신(新)고려장’. 치매나 중풍 등 자립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을 집 혹은 거리에 방치한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얼마 전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치매환자의 등록비율은 겨우 7.5%. 10명 중 9명의 치매노인은 그대로 방치돼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에 본지에서는 치매노인이 방치되는 이유 및 현재 치매노인 관리 실태에 대해 집중조명해 보고자 한다.  *잇따른 치매노인 감금사태 *‘지난 9일 부산 한 지역. 80대 치매노인 비닐하우스 창고에 일주일동안 감금’.
‘가출신고조차 돼 있지 않은 길 잃은 치매노인. 알고 보니 짐으로 여겨왔던 치매노인이 길을 잃자 가족들이 방치’ 등.
치매 노인 수의 증가와 아울러 ‘신고려장’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A치매상담센터 B사회복지사는 “치매노인에 대한 인식이 개선됐다고는 하나,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가족들은 이를 은폐하려고 한다”며 “경제력이 있을 경우 주위 사람 몰래 시설에 입소시키거나 경제력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가정 내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젊은 시절 시부모로부터 시집살이를 당했던 며느리가 보복심리로 가정 내 방치하는 등의 사태도 발견되고 있다”고 전했다. *제 역할 못하는 치매상담센터 *1997년 노인복지법 제 29조와 노인복지법시행령 제 12조 제 1항에 의거해 보건소 내에 현재 236개소의 치매상담센터가 설치돼 있다. 치매상담센터에는 개소당 국비로 연간 500만원이 지원된다.
 
그러나 치매노인 등록. 관리, 평가, 보호자 상담, 교육 등의 역할을 위해 설치된 치매상담센터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에 보고된 지난해 치매상담센터 운영실적에 따르면 등록치매노인수는 2만5760명으로 추계치매노인 수 34만2371명의 7.5%에 불과하다.
 
치매노인의 등록을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개선교육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치매상담센터에서는 이와 같은 사실을 간과하고 있어 더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등록치매노인수(15명)가 추계치매노인수(2058명)의 0.72 %에 불과한 서울시 양천구의 경우, 단 한 번도 치매관련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됐다. 이 외에도 부산광역시 금정구·사하구, 대구광역시 동구, 경기도 수원팔달구, 경기도 고양 덕양구·일산구 등의 지역에서도 전혀 치매관련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실의 김혜정 비서관은 “교육은 물론, 등록된 치매노인의 관리조차 안돼 있는 곳이 많다. 충북의 경우 등록 치매노인의 남녀구분이 안돼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며 “더욱더 문제인 것은 치매상담센터라는 현판을 보건소 입구에 설치하는 것이 권고조항이다보니 현판을 미설치하는 곳이 많다. 이에 치매상담센터라는 것은 주민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또한 치매노인수의 낮은 등록률을 보이는 한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전담인력·관리시스템 도입 필요 *234개소의 치매상담센터 중 상담전문요원이 있는 곳은 서울시 노원구(의사 및 간호사 각 1인) 등 극히 일부지역에 한정돼 있다. 대부분은 울산광역시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일반 간호사와 겸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치매노인에 대한 관리는 소홀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일부 치매상담센터에서는 인건비조차 지급이 안 되는데 어떻게 전담인력을 두느냐고 항의하기도 한다.
 
정부에서는 치매환자 관리에 필요한 예산을 적정선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일부에서는 지적한다. 재정 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이조차도 지원여부가 희박하기에 치매환자의 관리는 더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한다.
 
정부의 소극적인 치매노인관리실태에 대해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는 치매를 관리하는 제도에 대한 점검과 재정비가 요구된다”며 “현 정부는 치매상담센터와 연계해 치매환자의 조기발견·예방 등을 할 수 있는 ‘치매관리특별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