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노화된 세포를 정상세포로 전환시켜 인간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생명과학과 김태국 교수팀은 씨지케이(대표 김진환)와 공동으로 새로운 인간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인 ‘CGK733’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CGK733은 영국의 세계적 신약전문저널인 네이처의 온라인판 케미컬바이올로지 12일자에 발표됐고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한 자세한 방법론 역시 네이처 프로토콜지에 커버스토리로 실리게 된다.

네이처지는 인체의 체세포가 증식을 멈추면 곧바로 노화단계로 접어든다고 밝히고, 이같은 노화억제 물질 개발에 관한 생명과학의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인간세포의 노화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질 개발은 김 교수팀이 개발한 CGK733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팀은 자동화 이미징을 이용한 고효율 스크리닝을 통해 인간세포의 노화를 조절, 세포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물질인 CGK733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김 교수팀은 이미 노화된 인간세포에 CGK733을 공급하면 분열을 멈추었던 노화 세포가 분열을 재개하였고 세포 모양도 정상적인 젊은 세포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 상태에서 CGK733을 제거해주면 세포는 다시 노화가 시작되는 등 CGK733이란 신 물질이 노화와 관련된 세포 프로그램을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신약개발핵심원천기술인 매직(MAGnetism-based lnteraction Capture)기술을 활용,CGK733이 살아있는 인간 질병세포 내에서 ATM이라는 질병단백질과 결합해 노화조절작용으로 노화와 관련된 치매 등 질병치유의 완치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신기술은 유전체학, 단백체학, 시스템생물학 등을 통한 살아있는 인간세포내에서 다이나믹하게 변화조절되는 생명과학 분자생명회로로 신약개발과 임상진단, 바이오센서 등 바이오-나노-정보분야에서 다양한 영향이 미칠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