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이 전산화되고 인터넷이 필수화 됐지만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고령층은 몰라서 받지 못하는 서비스와 각종 제도, 보상 등으로 인해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지난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IT산업정책연구그룹의 조사 결과, 2006년 기준 인터넷 이용률은 저 연령층(10대 이하)의 경우 98.5%에 이르고 있는 반면, 고령층(50대 이상)은 28.3%에 불과했다. 특히 고령층 중에서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인터넷 이용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노인 정보화 지원 사업 대상 연령층인 55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18.2%이며, 법정 노인 연령층인 65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10.5%로 50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28.3%)의 약 1/3 수준에 그치고 있다.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이 낮은 이유는 정보 접근, 역량, 활용 등 모든 측면이 일반 국민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정보재의 채택 단계에서부터 진입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정보사회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기술 습득기회의 제공과 신기술의 이용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정규교육 기회의 제공과 고령층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노인 콘텐츠의 개발 등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고령층은 정보화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상실했거나, 학습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향후 필요한 정보를 찾아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령층의 정보소외 현상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보격차의 중심에 있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시급히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정책의 추진은 정보 접근, 이용능력, 활용이라는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그룹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의 정보접근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언제든지 편리하게 정보 접근이 가능한 환경 조성과 유비쿼터스, 통방융합 등 새로운 환경 도래에 따른 정보 접근 격차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우선 인터넷이 가능한 저가형 또는 중고 PC 보급이 확대되어야 한다. 독거노인 또는 저소득층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 고령층에 보다 많은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층의 정보접근 격차를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층이 인터넷을 이용할 때 느끼는 불편사항으로 `이용비용의 부담(14.5%)' 보다는 `이용방법의 어려움(35.8%)'을 지적하고 있다.

고령층이 직접 참여하는 정보화 교육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고령층의 수준에 맞는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고령층의 정보 활용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고령층의 경제ㆍ사회ㆍ복지ㆍ교육 활동 시 IT를 통해 원활하게 정보를 활용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우선 고령층의 경제 활동 확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과 정보 제공 확대가 필요하다.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 DB의 디지털 전환 사업에 일부 노인들을 고용하거나 모니터링 업무, 게시판 운영 관리 등 IT활용이 가능한 일자리를 고령층에 확대해 나가야 한다.

이와 함께 사회 각 분야에서 고령층의 일자리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령층의 학습 활동 증대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평생 교육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정부에서 노인들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으나 여전히 노인생활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고령층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e-러닝(Learning)에 기반한 실버 온라인 스쿨을 구축하여 정규교육 프로그램 이외에 창업, 여가, 노인대학 등 자기개발을 위한 평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고령층 정보활용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방안이 될 것이다.
주희영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