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동권연대 관계자들이 투쟁 결의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2008 welfarenews
▲ 장애인이동권연대 관계자들이 투쟁 결의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2008 welfarenews

2001년 1월 22일 오전 11시경,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에서 수직형 리프트를 이용하던 장애인 노부부가 추락해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많은 장애인 단체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장애인이동권쟁취를위한연대회의(이하 이동권연대)를 결성해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의 대응뿐만 아니라,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전면적으로 벌여나가기 시작했다.

이동권연대는 장애인이 이동하다가 죽는 일이 더 이상은 장애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사회적으로 제기하고, 장애인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적 구조를 만들기 위한 투쟁을 이어왔다. 그리고 벌써 7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7년여의 이동권 투쟁은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 제정, 서울특별시 및 대구광역시 등의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에관한조례’ 제정 등 많은 성과를 낳았다. 그러나 장애인 이동의 현실은 아직도 열악하기만 한다.
특히 한국철도공사 관할 역사에는 수동휠체어용인 구형 리프트가 아직도 운행되고 있으며, 장애인 이동권 확보를 위한 장애인 단체들의 많은 요구는 실질적 계획조차 없이 묵살되고 있다.

이에 이동권연대는 오이도역 수직형 리프트 추락참사 7주년을 맞아 다시 투쟁에 돌입했다. 장애인들은 “아직도 장애인의 이동권은 참담한 현실 앞에 놓여있다”며 ‘장애인 이동권 쟁취를 위한 투쟁 선포 결의대회’를 열고 한국철도공사를 상대로 장애인 이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이동권연대는 결의대회에서 한국철도공사측에 실질적인 이동권을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2008 welfarenews
▲ 이동권연대는 결의대회에서 한국철도공사측에 실질적인 이동권을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2008 welfarenews

이동권연대는 투쟁결의문을 통해 한국철도공사측에 ▲한국철도공사 관할 모든 역사에 엘리베이터를 장애인의 이동 동선 전체가 연결되도록 설치하라 ▲한국철도공사 관할 모든 역사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 문제 해결을 위해 자동화 발판 설비를 즉각 설치하라 ▲한국철도공사 관할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즉각 설치하라 ▲철도 차량에 휠체어 탑승 설비를 즉각 설치하라 ▲한국철도공사 관할 모든 역사에 안전요원을 즉각 배치하라 등의 내용을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이동권연대 박경석 공동대표는 “4년 동안의 긴 싸움 끝에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이 제정됐고, 그로인해 이동권에 있어 많은 발전이 있었다는 것은 인정 한다. 하지만 좋아졌다는 것이 과연 누구의 시각인지 알 수 없다”고 언급했다. 박 대표는 이어 “저상버스 몇 대 도입하고 엘리베이터를 몇 대 설치해 이동권이 좋아졌다고 말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장애인을 기만하는 행동일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동권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장애인들도 “안전 규격에도 미달되는 수동휠체어용 리프트는 아직도 대다수의 역사에서 운행되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여전히 목숨을 걸고 살인기계를 타며 이동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이동권이 실질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변화된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