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5년 3월, 서울에서‘UN아시아태평양 환경과 개
발장관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환경의 지속가
능성 제고’,‘ 환경성과증진’,‘ 경제성장 동력으로써 환경역
할 강화’의 세 가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였다.

녹색 성장(綠色成長, green development)은 공동체 또는 지
역 환경의 개발과의 관련성을 포함하는 토지 이용 계획으로,
현장 특유의 녹색 건물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는
도시 계획, 환경 계획, 건축, 공동체 건물 등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지난해 8월 15일 이명박대통령이 주요 정
책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녹색성장은
‘에너지·환경관련 기술과 산업 등에서 미래 유망품목과 신
기술을 개발하고, 기존 산업과 융합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
과 일자리를 얻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추진하는 녹색성장정책의 추진전략들을 살
펴보면, 장애인과 관련된 정책은 없어보인다. 녹색성장의 주
역으로서가 아니라 단순 일자리 창출의 대상이거나 복지관 등
사회복지 시설을 보다 친환경으로 바꾸는 정도에 불과하다.

전국적으로 전동휠체어는 약 4만대 정도가 보급되었다고
한다. 전동휠체어는 지체장애인이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도 이동권을 넓히는 데 있어 혁명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을
만큼 중요한 필수품이 되었다. 얼핏보면 전동휠체어와 녹색
성장간 상관관계가 전혀 없어보인다.

그런데 전동휠체어를 보면 이곳에 녹색복지전략이 있다.
즉, 전동휠체어에는 반드시 동력원으로서 배터리가 있다. 이
배터리는 대부분 납배터리로 국내산의 경우 20만원이 넘고,
외산의 경우 50만원 내외로 2년마다 3개정도는 교환해야한
다. 경제적 부담도 크지만 납배터리는 짧은 수명과 환경오염
의 주범이 아닐 수 없다.

전기자동차에는 리튬이온 내지 리튬폴리머 배터리가 들어
간다. 그래서 친환경 자동차로 불리고 고효율의 에너지를 저장
하므로 생산성 또한 높다. 이런 배터리를 전동휠체어에 적용하
면어떨까? 녹색복지는눈높이를낮추는것부터시작한다.

편집장 김호중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