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와 녹색성장, 왠지 어울릴 것 같지 않다. 녹색성장위원회홈페이지나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를 보아도 사회복지분야 녹색성장은 강조되어있지 않다. 최근 발표된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을 보아도 사회복지시설의 노후화된 에너지 설비를 신재생에너지 설비로 대체하는 등 환경친화적 개보수 지원이나, 복지시설을 친환경으로 바꾸는게 고작이다. 사회복지가 분배의 학문이라 그런가?

그러나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녹색성장정책은 지구적 생존문제고, 인간의 삶의 양과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몇해 전 서서히 가라앉는 섬나라 ‘투발로’사람들을 만난 적이 있다. 지구에서 해수면상승으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 투발로, 그 사람들의 목소리는 영혼으로 호소하는 절실함 그 자체였다. 그들에게 삶의 질은 없었다. 성장도 없었다. 그냥 생존 자체였다.

녹색성장은 이처럼 지구적 차원의 위기관리대응이다. 나라경제도 성장해야하고 환경도 보존돼야 사람도 산다. 그런 차원에서 보면 사회복지계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결국 녹색성장은 문화적 완성정도에 따라 그 성패가 갈릴 텐 데, 지역사회의 복지문제를 실천하고 책임지는 사회복지기관들이 녹색경영에 앞장서, 지역주민을 상대로 녹색성장 실천방법을 공유하고 실천케 해야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전국 사회복지관에서는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그 프로그램 중 녹색성장을 실천하는 프로그램의 비중은 어떠한가. 사회복지사들의 개념속에 녹색성장이 빠르게 싹터야 한다. 나아가 현장 사회복지사들이 녹색성장의 실천전략을 짜야한다. 이에 따른 예산을 요구해야하고 정치지도자들로부터 사회복지계의 역할을 끌어내야 한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지역책임자이기 때문에 부여된 새로운 도전과제인 것이다.

지구적 과제인 기후변화와 그 대응은 분배문제를 초월하므로 의식있는 사회복지사들이 리더쉽을 발휘하여 지역사회운동으로서 “녹색복지”를 조기정착하길 기원한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