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수면장애(G47)질환’의 실진료환자수가 2001년 5만1천명, 2005년 12만2천명, 2008년 22만8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8년간(2001-2008) 4.5배 증가(연평균 23.8%↑)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대 여성환자의 증가가 두드러졌는데, 2001년 대비 2008년 실진료환자수가 6.7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 보다 그 증가폭이 컸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이 8만9천명이고 여봉� 13만9천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50대가 8만3천명(36.3%), 60대 이상이 9만3천명(40.7%)으로 중․장년층이상 연령대가 전체 진료환자의 77.0%를 차지하였다.

10만명당 ‘수면장애’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여성(583)이 남성(365명)보다 1.6배 많았는데, 60대까지는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수가 많았지만, 70대 이상부터는 오히려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수면장애에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해마다 커져 2001년 44억원에서 2005년 91억원, 2008년 194억원으로 나타나, 2008년 수면장애에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1년보다 4.4배 이상 증가하였다.

아울러, 공단이 부담한 2008년 수면장애 급여비는 모두 137억원으로 약국 68억원, 외래 51억원, 입원 18억원 순(順)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전문의 박상진 교수는 최근 ‘수면장애’ 진료환자 증가 이유에 대하여 “최근 경제난과 취업난에 따른 장래에 대한 불안, 우울증․불안장애․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이유에 의한 정신질환 증가, 직업과 사회 다변화에 따른 주야간 교대근무, 해외여행에 따른 시차 부적응, 약물에 의한 내과적 신경계 질환, 그리고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라고 말하고, ‘수면장애’ 질환 증상 및 관리요령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수면장애는 그 원인이 되는 상태가 개선되면 대부분 좋아진다.

따라서 수면장애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장애가 만성화된 경우 다음과 같은 올바른 수면 환경요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규칙적인 시간에 기상하도록 노력한다.
- 낮잠을 피하고 아무 때나 눕지 않는다.
- 잠이 오지 않아 초조할때는 자려고만 하지 말고 다른 활동을 해 본다.
- 평소의 수면시간만큼만 누워 있는다.
- 낮 동안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 저녁 7시 이후의 운동은 오히려 뇌를 각성시켜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한다.
- 과식을 피하고, 술과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커피, 홍차, 콜라, 각성음료) 및 진통제 섭취를 피한다.

또한, “수면장애는 참는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원인이 있는데 치료를 미루고 민간요법이나 약물에 의존해 잠오는 약만 사다 먹으면 오히려 병이 깊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전문의를 찾아 잠에 대한 정밀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필요하다.“ 라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