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전동포함)가 있어 일상생활이 가능한 서하은(11세, 뇌병변장애1급) 학생은 요즘 우울한 12월을 보내고 있다.

이유는 서 학생의 휠체어가 잔고장이 많아 일상생활과 학급생활에 큰 지장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마다 항상 지원병이 되어 달려와 수리 및 점검을 꼼꼼하게 해주던 울산장애인 보장구 수리 센터가 내년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센터는 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재가보조기구방문서비스’(구청이 의료기상사와 협약을 맺어 장애인보조기구를 수리해주는 서비스) 보다 수리 기간도 짧고, 휠체어를 수리하는 동안 다른 휠체어를 대여해주는 에인절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어 지역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불편을 덜어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센터라서 더욱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이 센터가 자금난으로 문을 닫게 되면 울산지역에 400여명의 장애인들이 보장구 수리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8년 11월 현대자동차가 15.000만원을 들여 장애인 보장구 수리 센터를 개설하였으나 운영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이런 일이 발생한 것, 현재도 장애인 보장구 수리 센터는 운영예산이 바닥인 상태로 자체 예산 300여만원을 들여 보장구를 수리해 주고 있는 형편이다.

그동안 이 센터가 지난 1년간 384명의 장애인이 807건의 수리를 도맡아 서비스를 수행하여 왔다.

울산장애인보장구 수리 센터의 한 관계자는 “우리가 수리하는 보장구는 단순한 기물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가치에 부합하는 이동권의 필수적인 장비라는 측면에서 장애인이 더욱 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인 휠체어 등의 보장구 수리와 관련된 지원체계는 사회(예비장애인들의 관점)가 나서 해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만일 예산확보가 어디에서도 이루어 못한다면 장애인들의 불편은 더욱 가중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보장구 수리 센터의 지원은 제주자치도와 부산, 인천, 대구 등 다수의 지자체에서 자체 예산을 편성해 보장구 수리 센터를 지원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복지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선 기본권인 이동권을 장애인에게 부여하는 의미에서 울산광역시도 자체 예산을 투입해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