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구강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구체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토론회가 지난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토론회를 개최한 민주당 전현희 의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장애인은 10%, 등록장애인을 기준으로는 4.7% 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비해 전국의 1만5,000여개 치과 의료기관 중 장애인 대상 진료가 가능한 곳은 단 2%인 것으로 조사돼 장애인 구강보건 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회의 발제를 맡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최충호 교수는 “이동의 불편함, 적절한 치과 또는 의사를 찾지 못함, 진료비의 부담 등으로 장애인들은 예방 및 조기치료보다는 상태가 악화된 후에야 진료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장애인 구강보건사업 및 정책개발을 위한 지속적 실태조사 지원과 관련 연구 및 학술 활동 지원 등을 제안했다.

또한 최 교수는 민간치과의료의 활성화 지원을 위해 진료수가의 조정과 경제적으로 어려운 장애인 환자의 경우 구강진료비 감면 또는 보조 필요, 치과의사와 환자를 동시에 개선하는 방안 모색 등을 주장했다.

서울시장애인치과병원 김명진 원장은 “장애인 구강보건 실태의 개선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장애인 전문 치과 의료진 양성과 지역 거점 장애인 구강보건 센터 설립 활성화, 의료보험제도 개선 방안 등을 제시했다.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안동애명요양원 김영환 원장은 장애인 생활시설 이용자 구강상태 현황에 나타난 문제점으로 예방적 차원의 치석제거가 아닌 잇몸질환이나 충치 등으로 27.2%의 장애인이 치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치아가 1개 이상 없는 장애인이 무려 25.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구강 관련 질환이나 치아가 없는 경우 섭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는 위장질환이나 영양섭취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원장은 “지리적이나 편의시설에 관련한 접근성 향상보다는 오히려 비용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장애인 구강관리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밝히며 치과진료 비용 표준화, 건강보험 적용 확대, 보철 및 임플란트 등을 장애인보장구로 포함시키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