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나 질병으로 척수 손상을 입는 경우 병원에 입원해있는 기간이 평균 32개월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럽에서는 1개월 길어야 3개월인 것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입원 기간은 무척 길죠.

척수장애인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데 퇴원을 하고 나면 병원에 가지 않아서 척수장애인 건강에 많은 문제가 생기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친박연대 정하균 의원은 '척수장애인 재활지원체계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에 대한 토론회를 가졌는데요.

척수장애는 현재 장애분류에서 지체장애에 속해있지만 척수장애는 일반 지체장애와는 증상도 다르고 욕구도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장애유형으로 분류돼야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입원 기간은 길지만 퇴원 후 어떻게 생활할 것인지 준비가 되지 않아서 퇴원을 해도 지역사회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죠. 그리고 장애가 심한 최중중 척수장애인에 대한 재활프로그램이 없어서 최중증척수장애인들은 방치돼있는 실정입니다.

한국척수장애인협회에서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도우미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87.4%나 됐습니다. 장애등급은 1급이 91.6%로 대부분 중증장애인이었죠.

장애 이외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60.9%가 병원에 가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이동이 힘들어서라고 했죠. 재활치료를 꾸준히 받지 못하는 이유로 23.5 %가 경제적인 문제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충분한 재활치료를 받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치료비 지원을 꼽았어요.

이런 욕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척수장애인 재활지원이 개선돼야 할텐데요. 척수장애인 재활지원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입원기간을 줄이고 입원 기간 중 자립생활을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척수장애인 건강 관리를 위해 척수장애인 전문 재활센터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사회재활서비스를 통해 척수장애인이 직장에 복귀하고 지역사회에서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스포츠를 비롯한 여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회생활을 하다가 갑자기 척수장애를 갖게 된 척수장애인들이 장애를 갖게 된 후에도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재활지원체계가 갖추어지는 정책이 마련돼야겠습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