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G(압축천연가스)시내버스 폭발사고를 계기로 버스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저상버스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예산이 저상버스 도입에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 9일 서울에서 발생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폭발사고와 관련해 정부가 버스안전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정부는 이미 지난해 말부터 CNG 버스에 대한 일부점검(국내에서 제작된 가스통 장착차량)을 통해 100대당 5대의 버스에서 안전상 결함을 발견했지만 관련법안 마련을 이유로 즉각적인 개선은 미루었다.

이런 사이 국민을 담보로 한 위험한 시내버스는 폭발과 함께 시민들이 버스에 대한 신뢰도 아사가 버렸다.

지금에 와서야 정부는 철제 연료탱크를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에 탄소섬유가 포함된 용기로 바꾸고 용기설치 위치를 버스 상부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버스를 제작하는 업계는 이 대책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사고버스를 제작한 W사의 한 관계자는 “우선 사고원인이 용기재질의 결함이라고 하긴 힘들기 때문에 재질을 바꾸는 것은 제품 경량화의 의미 밖에 없다.”라며 “버스 용기 위치도 전 세계적으로 일반버스는 차량 밑에, 저상버스는 위에 두는 것이 일반적인 기준으로 통용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런 논란들을 불식 식히고 시민들의 안전한 대중교통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저상버스 도입이 그 해답이라는데에는 공동적인 의견이다.

일반적으로 저상버스는 일반버스에 비해 안정성과 승차감이 뛰어나고 또한 차체가 낮기 때문에 무거운 연료통을 위로 올려도 운행과정에 무게중심의 문제로 전복사고가 날 확률이 크기 않으며 가장 중요한 폭발사고의 위험에서도 비교적 안전(가스누출 시 공기보다 가벼워 고임 없이 퍼져버림으로 폭발 가능성이 낮음)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 저상버스는 장애인, 노인, 등의 교통약자들에게는 물론 비장애인들에게도 편리한 것은 두말한 필요가 없다.

하지만 저상버스 도입에 가장 큰 문제는 저상버스 가격이 일반 CFG버스보다 2배 정도 비싸다는 점과 버스업체들의 상운도 저상버스를 도입하는데 큰 걸림돌이다.
여기에 정부는 애초에 내년까지 9100대의 저상버스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수리하였으나 관련 예산을 재대로 확보하지 못해 내년까지 정부 목표치에 30%가 조금 넘는 3500여대를 보급하는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천연가스 버스 폭발로 우리 시민들은 안전한 대중교통 수단을 잃게 되었다.
언제까지나 정부는 예산부족이라는 이유로 국민의 기본권인 안전하게 이동할 권리를 막을 것이지 한번 묻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서 또 하나의 진리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결코 그들을 위해만 존재하는 정책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