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난청에 있어 치료시기를 놓치면 회복이 어렵다는 소식, 지난 뉴스에서 전해 드렸는데요. 우리나라는 매년 난청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보청기 보급률은 제자리걸음이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실태를 정유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REP>> 난청에 효과적인 대안은 바로 보청기 착용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난청인구의 7%만이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데요.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이 25% 이상 보청기 착용률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를 보이고 있죠.

이유는 국내 보청기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제품들이 대부분 100만 원 이상의 고가이기 때문입니다.

보청기 가격이 높게 형성된 이유는 바로 유통구조의 문제를 들 수 있는데요.

국내 보청기 시장은 시장점유율에 있어 외국계 기업이 90%를 차지하는데, 중간 도매상과 소매상이 마진을 챙기면서 가격 부풀림 현상이 심해질 수밖에 없는 겁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 보청기 회사 일부가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가격 거품을 없애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소수의 기업에 그치고 있는 상태.

현재 보청기 구매자가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장애 6급 이상의 판정을 받아야 하는데, 이 때 건강보험에서 지원되는 금액은 34만 원에 불과합니다.

장애등급을 산정하는 데에는 최소 40만 원이 드니,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셈입니다.

게다가 보청기의 내구 연한은 5년으로 정해져 있어 보청기를 자주 바꿔 줘야 하는 성장기 청소년과 청력이 점점 떨어지는 노인은 혜택이 무의미하다는 지적입니다.

보청기의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의 지원이 강화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INT 심상돈 / 보청기 회사 대표
“정부의 지원금이 현실화돼야 하는 게 우선이고 눈이 나쁘면 안경을 끼듯이 (보청기가) 보조 역할을 해주는 것이거든요 (보청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바뀌어지면 많은 분들이 불편함에서 벗어나고”

이같은 정부의 지원에 더해 외국 업체에 잠식된 국내 보청기 회사를 살리고, 청각 재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것도 보청기 대중화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가 될 것입니다.

<영상취재: 추진엽>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