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빈곤 해결과 사회적 고립감 해소 위한 정책 마련에 정부가 힘 쏟아야”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2030년이 되면 우리나라가 총인구 중 20%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2000년에 노인인구가 7.2%를 돌파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2019년에는 노인인구가 14%에 달하는 ‘고령사회’에 도달한다는 전망. 우리나라는 이렇게 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 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대책마련에는 소홀해 노인문제가 갈수록 확산될 것이라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나홀로 노인’의 경우, 가족들과 함께 생활하는 노인에 비해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이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에 요청한 자료에 따르면, 나홀로 노인수는 ▲2011년 112만4,099인 ▲2012년 118만6,831인 ▲2013년 125만2,012인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노인의 안전사고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2011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나홀로 노인(6.5%)이 자녀와 동거(3.8%)하거나 부부가 함께 생활(4.8%)하는 노인에 비해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됐다.

또한, 나홀로 노인의 경우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 역시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나홀로 노인 15.1%가 자살을 생각해 본 것으로 응답한 반면, 부부 노인은 9.2%,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은 11.5%였다.

나홀로 노인이 자살을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35.8%)’과 ‘외로움(16.8%)’이 가장 컸다. 이는 ‘건강문제’를 자살 생각의 가장 큰 이유로 꼽은 가족과 생활하는 노인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 의원은 “나홀로 노인의 경우 가정 내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시, 제때 처치를 받지 못하거나 그대로 방치될 가능성이 높아 사망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따라서 119와 연계한 비상벨 체제 마련을 검토하고, 지자체 및 민간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정기적인 방문과 전화 등을 통해 나홀로 노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나홀로 노인의 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며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인 노인빈곤 해결과,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정책 마련에 정부가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