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2014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저소득·고연령·독거노인의 건강관리 및 지원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지난해 3월부터 9개월간 전국 975개 조사가구 거주노인 1만452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 노인실태조사’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2008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된 전국 조사로, 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를 맡았다.

이번 조사 결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비율이 2004년 67.9%에서 2014년 76.6%로 늘었다. 또 80세 이상 비율(2004년 16.2%→2014년 20.6%)도 높아졌으며, 중·고등학교 졸업 이상 비율(2004년 25%→2014년 37.6%)도 늘었다.

특히 독거노인 가구는 2004년 20.6%에서 2014년 23.0%로 증가해,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 확대 및 강화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먼저, 경제상태 및 경제활동을 살펴보면 조사 대상 노인의 28.9%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대부분 생활비를 보충(79.3%)하기 위해 단순 노무직(36.6%) 또는 농림축산어업(36.4%)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관련 항목 중 주거 관련 비용(40.5%)을 가장 부담스러워하고 있었고, 보건 의료비(23.1%)와 식비(16.2%) 역시 큰 부담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는 89.2%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평균 2.6개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유병률은 고혈압(56.7%)이 가장 높았고 관절염(33.4%), 당뇨병(22.6%)이 뒤를 이었다.

복지부는 “2004년 기준 2014년 현재 남성 노인의 흡연율(33.6%→23.3%) 및 음주율(52.9%→48%)이 낮아지고, 운동실천율(58.1%)과 건강검진율(지난 2년간 83.8%)은 높아졌다.”며 “노인의 51%의 영양관리 상태는 좋은 수준이나, 49%는 주의·개선이 요구된다.”고 바라봤다.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혼자 살거나 여성일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1.5%가 인지기능이 낮았는데 배우자가 없는 경우, 읍·면지역에서 사는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상을 보이는 노인은 33.1%로 나이가 많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여성인 경우의 비율이 높았다.

경제적 어려움 및 건강문제, ‘자살’ 생각으로 이어져

노인 100인 중 10여 명(9.9%)이 학대를 경험, 11여 명(10.9%)이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11여 명 중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경우는 12.5%였다.
 

노인의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 수록 학대 경험률이 높았다. 자살을 생각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40.4%), 건강문제(24.4%), 외로움(13.3%), 가족·친구와의 갈등 및 단절(11.5%), 배우자 등 사망(5.4%) 등이었다.

또 노인의 3%가 화재 및 가스 누출 등 안전사고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에 복지부는 “독거노인의 안부를 확인하는 기본돌봄서비스 지속 확대, 노인보호전문기관 현재 27개소에서 2015년 7월까지 29개소로 확충, 신고의무자 직군 확대, 노인학대 범죄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노인복지법 개정을 추진할 것.”이라며 “아울러 노인 등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장 높은 여가활동은 ‘텔레비전 보기’… 문화 기반 조성 및 프로그램 개발 필요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13.7%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의 여가활동은 아직도 ‘집안에서의 생활’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여가생활 조사 결과 ‘텔레비전 보기’가 82.4%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이은 ‘산책’은 17.8%에 불과했다.

친목 도모 등을 위해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25.9%, 여가복지프로그램 이용 을 위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는 8.9%에 그쳤다.
‘복지관 등이 걸어서 30분 이상 걸리는 곳에 위치해 있다’는 응답이 65.1%였던 점을 미루어 볼 때, 접근성이 낮아 이용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 “노후생활 부양책임, 사회에 있다”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에 대해 34.3%가 ‘본인과 국가가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국가 차원’이라는 답변이 18.6%로 뒤를 이었다.

복지부는 “노인 개인 소득의 구성 비율 중 공적연금소득 비율이 대폭 확대됐다. 이는 기초연금 지급 및 국민연금 등이 성숙한 결과로 판단된다.”며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기초연금의 빠짐없는 지원을 위해 수급희망자 이력관리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