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기능이 갈수록 약해지는 병을 앓는 이범구 씨.

호흡에 필요한 근육마저 약해져 9년 전부터는 호흡을 도와주는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범구> "호흡기를 일정시간 동안 쓰지 않으면 이산화탄소가 몸속에 쌓여가지고 단순한 보조도구가 아니라 저한테는 생명에 연관되는 부분입니다."

호흡기는 대당 2천만 원.

마스크나 호스 등 소모품도 가격이 만만치 않아 현재 정부가 매달 대여료와 소모품 비용을 지원합니다.

그런데 11월부터는 돈을 내야 이 호흡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g)호흡기 보조금 지원 대상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이들은 비용의 10%를 부담하게 됩니다.

cg)기존에 100% 지원을 받던 1천 300여 명의 장애인이 매달 10만 원 가량을 내야 합니다.

노동시장에 나서는 것이 어려운데다 이미 활동지원서비스 비용과 병원비 등을 지출하는 상황에서 부담은 더 크게만 느껴집니다.

<이범구> "합치면 25만 원 정도 되는데 수입에 비례하면 한 1/4 정도 되는데 이게 항상 고정적으로 비용이 생기게 되는 거라서…"

장애계단체는 숨을 쉬는 데도 돈을 내야하냐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정훈 / 인공호흡기 사용 장애인 생존권보장 공동대책연대 위원> "일단 (대상을)확대하는 거는 (긍정적인데), 이제 문제는 그 비용을 어쩌면 기존 지원받던 사람들에게 전가하는 거라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원대상 확대 과정에서 본인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다면 서도 자부담금 상한제 등을 통해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뉴스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