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세계장애인의 날 투쟁결의대회 및 2016 총선장애인연대 출범

세계장애인의 날인 12월 3일, 수백명의 장애인들이 보신각에 모였다. ⓒ최지희 기자
세계장애인의날인 12월 3일, 수백 명의 장애인들이 보신각에 모였다. 이들은 세계장애인의 날을 축하하기 위해서 모인 것이 아니다.

이날 전국장애인차별장애연대(이하 전장연), 장애등급부양의무제폐지공동행도,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등은 권리증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세계장애인의 날이 23회 째가 됐음에도 변하지 않은 한국의 장애인 인권을 꼬집기 위해서 모였다.

이날 오후 1시 마로니에공원에서 민중생존권 쟁취를 위한 장애계 기자회견 뒤 행진을 시작해 3시30분에 보신각으로 도착한 장애계는 23회 세계장애인의 날을 맞아 UN장애인권리협약 선택의정서 비준 및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등을 위한 투쟁결의대회 및 ‘2016 총선장애인연대’ 출범식을 가졌다.

장애계는 권리증진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세계장애인의 날이 23회째가 됐음에도 변하지 않는 한국의 장애인 인권을 꼬집기 위해 한 자리에 모였다. ⓒ최지희 기자

그동안 장애인의 권리와 관련해 장애계는 수많은 운동을 전개해 왔다. 부족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의학적 기준으로만 장애인의 등급을 판단해 편협적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한 장애등급서비스, 자립의지가 있는 장애인들의 가족들에게 부양의 의무를 부여해 복지서비스를 차단하는 부양의무자 기준 등의 개선을 위해서다.

하지만 열악한 장애인의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 장애계의 입장이다.

우선 장애등급제의 경우에는 지난해 복지부에서 장애등급제 폐지를 선언하고 장애등급의 중·경증 분리를 시작으로 점차 장애등급제를 폐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장애계는 중·경증으로 나누는 것 역시 또 다른 형식의 장애등급제라고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양의무자 기준 역시 완화된다고는 하나, 부양의무자 기준의 존재 자체가 장애인들의 자립생활 및 복지서비스 혜택을 차단하고 있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 장애계는 완강하게 부양의무자 기준의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장애계는 이날 ‘2016 총선장애인연대’를 출범해 현재 장애계가 요구하고있는 안건들을 포함한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위해 내년 총선 후보자들에게 적극 홍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세계장애인의 날 투쟁 결의대회에 앞선 문화 공연. ⓒ최지희 기자
세계장애인의 날 투쟁 결의대회에 선 발언자의 모습. ⓒ최지희 기자

 

 

 

 

 

 

 

 

 

 

 

“장애인을 폐기물로 만드는 ‘나쁜 정치’에 본때를 보여주자!”

2016 총선장애인연대는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장애해방열사단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 ▲한국농아인협회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한울림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이 참여한 20대 총선 장애계 공동투쟁기구다.

이들 단체는 내년 20대 국회의원 선거를 맞이해 장애민중의 처참한 현실을 알리고 보편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한데 뭉쳤다.

세계장애인의 날인 12월 3일, 수백명의 장애인들이 보신각에 모였다. ⓒ최지희 기자
2016 총선장애인연대는 “이번 총선 역시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이 이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권 줄서기와 당선만을 목표로 오로지 표를 얻기 위한 ‘나쁜 정치’가 반복될 것이 예견되고 있다.”며 “정치권이 답습했던 ‘나쁜 정치’는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의 대상으로 전락시켰고, 그 결과는 장애인의 삶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장애인가족이 서로를 포기하게 만드는 것이었다.”고 규탄했다.

이어 “‘인간다운 삶’이 이야기되는 정책선거가 아니라 ‘정치적 당략’만이 이야기되는 정쟁선거가 예견되는 가운데, 그 어느 때보다도 장애인의 차별 받는 현실을 알리고 우리의 삶을 지켜내기 위한 대중의 활동이 필요하다.”며 “장애등급제·부양의무 기준 폐지를 비롯해 장애인 보편의 권리가 보장될 수 있는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등 소수정치인이 아닌 장애인의 목소리와 힘으로 생존권 보장 정책들이 제기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6 총선장애인연대는 주요 정책요구안으로 장애등급제 폐지와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내걸고 내걸고, 내년 총선까지 정당후보들에게 해당 법을 홍보하고 제정 의지가 있는 정당 후보를 물색해 지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김광이 공동집행위원장은 “현재 우리의 삶은 시설에서 혹은 가족에게서 죽임당하고 학대를 당하고 있다. 이제 이 모든 것을 장애인권리보장법으로 보살펴야할 때.”라며 “보편적 권리라는 추상적 개념을 우리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만들어 나갈수 있도록 이제 총선연대를 통해서 장애인권리보장법을 후보들에게 전달하고, 정말 장애인들의 이러한 목소리를 진정으로 듣고 깨우치는 후보를 가려내 적극 지지하는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전했다.

장애인권리보장법제정연대 김광이 공동집행위원장. ⓒ최지희 기자
장애계는 세계장애인의 날을 맞아 선택의정서 비준 및 장애인 권리보장법 제정등을 외쳤다. ⓒ최지희 기자
'2016 총선장애인연대'출범식에서는 장애계에 목소리에 귀 기울여 줄 '후보'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최지희 기자

 

 

 

 

 

 

 

 

 

 

 

아래는 2016 총선장애인연대 출범선언문 전문과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2016 총선장애인연대 출범선언문
“장애인을 폐기물로 만드는 ‘나쁜 정치’에 본때를 보여주자!”

‘나쁜 정치’는 장애인을 폐기물로 만든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정치는 장애인들에게 너무나 ‘나쁜 정치’였다. ‘나쁜 정치’는 세상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게 교묘한 방식으로 감추어져 왔으며, 그 본질은 바로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의 대상으로 치부하는 것이었다. ‘나쁜 정치’는 오로지 선거 때만 되면 ‘선한’ 가면을 쓰고, 장애인들을 집권에 필요한 표로 이용만 하고 버리는 행태에서 비롯된 것이다.

19대 국회는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의 대상으로 만든 전형적인 ‘나쁜 정치’였다.
먼저 장애인 인권을 위한다는 장애계 모두가 ‘나쁜 정치’를 방치했기에 장애민중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해야 한다. 장애인을 대표한다는 장애인 국회의원들이 국회 내에서 장애인의 보편적 권리를 위한 활동을 하도록 견인하지 못하였으며, 개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국회 활동만 하는 것을 바라만 보았다.
그 결과 19대 국회는 장애인들의 고통스런 눈물을 닦아주지 못했다. 장애인들은 집에서 불타죽고, 시설에서 맞아죽어 갔다. 장애인가족들은 돌봄에 대한 부담과 생활고를 견디다 못 해 동반자살하였고, 장애인 부모가 그 자식을 살해하는 비참한 현실을 망연히 바라만 보아야 했다.

2006년 UN은 기존 국제인권조약이 장애인의 인권 신장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비판적 평가 속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기본적 권리 및 자유로부터 배제되는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 회원국 192개국의 만장일치로 「장애인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을 통과시켰다. 국제사회의 움직임과 장애계의 요구에 대한민국 국회도 2008년 협약을 비준하였지만, 장애인권리협약에 기반한 권리가 실질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선택의정서 비준은 유보시켰다.

이후 UN장애인권리위원회의 권고와 장애계의 끊임없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19대 국회는 장애인권리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다. 또한 2014년 UN장애인권리위원회가 정부에 권고한 내용에 대해, 19대 국회는 정부가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감시하고 이행을 촉구할 책임이 있음에도 어떠한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

결국 장애인권리협약은 휴지조각이 되었고, 장애인의 권리는 폐기되거나 유보되었다. UN장애인권리위원회의 권고와 장애인들의 목소리는 국회의원들에겐 한낱 자장가에 불과할 뿐이었다.
‘나쁜 정치’의 영향으로 박근혜 정권은 거리낌 없이 장애인들에게 약속한 공약을 폐기하거나 유보시켰다. 박근혜 정권의 하위 기구로 전락한 입법부와 사법부는 삼위일체가 되어 장애인을 ‘폐기물’로 취급한 것이다.

이제 본때를 보여주자!
우리는 광화문광장 지하에서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를 폐지하기 위해 오늘로서 1200일째 투쟁하며 네번째 추운겨울을 맞이하고 있다.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은 가장 비열한 사람들에게 지배를 받는다.’고 하였다. 우리는 가장 비열한 사람들에게 지배받지 않기 위하여, 다가오는 2016년 20대 총선에는 ‘선한’ 가면을 쓴 ‘나쁜 정치’가 우리의 삶과 우리의 권리를 지배하지 못하도록 투쟁을 만들어갈 것이다.

23회 세계장애인의 날이자 20대 총선 133일을 앞둔 오늘, 우리는 ‘본때’를 보여줄 살맛나는 투쟁을 준비할 것이다.

하나. 아래로부터의 대중투쟁을 통해 장애민중의 생존권을 관철시킬 것이다.
정치는 국회에서 이뤄지는 정치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를 위한 광화문 농성장을 중심으로 각 지역에서 우리의 대중투쟁 정치를 활발하게 조직할 것이다. 그리고 ‘나쁜 정치’로 인한 장애인들에게 끼친 폐해를 하나씩 하나씩 벗겨나갈 것이다.

하나. 시혜와 동정의 시대를 마감하고, 권리보장의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장애인권리협약에 명시한 장애인의 권리가 지역사회에서 완전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에 그 책임을 요구할 것이다. 그것은 시혜와 동정에 기반한 ‘장애인복지법’을 폐기하고,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을 약속하는 것에서 출발할 것이다.

하나. 장애인의 정치참여를 가로막는 모든 장벽들에 맞서 투쟁할 것이다.
거동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시설에 입소해있다는 이유로, 지적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참정권이 유보되어서는 안 된다. 정치적 참여를 가로막는 모든 제도적 장벽들을 거둬내고, 20대 총선에서 완전한 정치참여의 장이 될 수 있도록 활동할 것이다.


2015년 12월 3일

2016총선장애인연대
 

ⓒ최지희 기자
ⓒ최지희 기자

 

 

 

 

 

 

 

 

 

 

 

ⓒ최지희 기자
ⓒ최지희 기자
ⓒ최지희 기자
ⓒ최지희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