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포럼 발간

장애영유아를 위한 종합 지원체인 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확산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육아정책연구소의 육아정책포럼에 실린 ‘장애 영유아 가족 중심 지원방안(권미경 부연구위원)’보고서를 통해 장애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장애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478인을 대상으로 ▲장애진단 및 등록 ▲양육 관련 정보의 습득 및 필요시기 ▲부모의 양육 참여정도와 양육 부담 등으로 구분해 조사했다.

장애 영유아 가족 지원 서비스 요구로 교육‧보육 기관 확충 가장 높아

장애 영유아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지원 서비스로는 교육‧보육 기관 확충(32.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경제적 지원(20.9%), 치료서비스 지원(18.7%), 전환기 프로그램 지원(14.9%) 순이다.

이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보육 기관 확충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살펴보면 소득이 월 260만 원 이하인 가구는 교육·보육기관 확충 요구가 24.4%였지만 월 261~365만 원(28.1%), 월 366~475만 원(37.4%), 월 476만 원 이상(42.9%) 등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응답률도 증가했다.

아울러 부모들을 자녀를 교육‧보육 기관에 보내면서 또래 친구들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 발달(46.2%)과 언어발달(26.6%)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별로 보면 전 연령에서 사회성 발달을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영아(출생 후 2년)의 경우에는 건강보호와 기본생활습관 습득에 대해, 유아(생후 1년부터 만 6세)와 만6세 이상의 경우에는 언어발달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와 더불어 교육·보육 기관을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서비스로는 치료 지원(27.5%)과 양육정보 제공서비스(27.0%)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보고서는 “조사 대상 부모들의 경우 대다수 정보를 다른 부모의 입소문이나 온라인 자료 등으로 정보를 얻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내용의 정확성이나 전문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며 “또한 치료기관, 교육·보육 기관 등을 찾을 때 정보와 서비스가 가장 부족하다고 느꼈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를 포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토대로 보고서는 ▲장애진단 초기 지원 강화 ▲장애 영유아 재원기관을 가족지원의 거점으로 활용 ▲장애 영유아 가구의 소득에 준한 추가지원 고려 ▲원스톱 종합지원 역할을 담당하는 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확산 ▲입소문의 공론화 장 마련 ▲장애 영유아 양육 지원 컨설턴트 제도 도입 ▲장애 영유아 부모 자조 모임 프로그램의 운용 ▲가족참여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활성화 등의 가족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중앙센터만 운영중인 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자자체별로 설치할 수 있는 예산을 마련해 이를 중심으로 장애 영유아 재원 어린이집 등 기관에 대한 교사수급과 전문가 순회 컨설팅 서비스 제공 등 장애 영유아 부모 지원을 포괄하는 종합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것.

또한 장애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간의 만남의 자리를 기관을 중심으로 정례화해 소통의 장을 활성화하고 이를 신뢰성 있게 조언해줄 장애 영유아 양육 지원 컨설턴트 제도를 마련할 것을 제언했다.

보고서는 “유사한 경험을 겪고 있는 부모들이 모여 서로의 양육과정을 도와주고 지지하는 자리가 마련된다면 좋을 것.”이라며 “현재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 유사한 모임이 있기는 하지만 활성화되지는 못한 상황이다. 이를 도입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