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장애인체육회,‘장애인체육 ONE STOP 서비스를 말하다’ 주제로 정책 세미나 개최

▲ 국민체력100사업과 장애인체육활성화  토론회 토론자들.
▲ 국민체력100사업과 장애인체육활성화 토론회 토론자들.

정부가 추진 중인 체육복지서비스 ‘국민체력100사업’에 장애인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세분된 측정기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현재 시행 중인 국민체력100사업은 국민의 체력상태를 과학이 접목된 방법으로 측정해 운동 상담·처방을 해주는 체육복지서비스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국민에 장애인은 없다. 정부가 국민체력 인증제도의 대상을 청소년, 성인, 노인으로만 구분한 것.

장애인들의 체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욕구가 외면당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대한장애인체육회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장애인 2,574인 중 15.8%가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을 했다. 이는 10년 전인 지난 2006년 장애인생활체육 참여율인 4.4%에 비해 11.4% 증가한 수치.

이에 현재 진행 중인 ‘국민체력100사업 장애인부 도입 연구’의 진행 과정을 점검과 정책방향 논의를 위한 토론회가 지난 26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렸다.

연구진, 국민체력100 근거한 기준 마련할 것

지난해 12월부터 국민체력100사업 장애인부 도입 연구에 참여중인 한국체육대학교 박재현 교수는 장애인분야 도입 연구 중간보고를 발표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현재 장애유형별 체력측정항목은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척수장애로 총 4가지 유형으로 나눠져 있다. 체력을 측정하는 항목은 ▲악력측정 ▲윗몸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6분 걷기 스텝검사 ▲휠체어 달리기 등이 있다.

또한 장애유형별(시각·청각·지적) 성별, 연령별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척수장애인의 평가기준의 경우 연령별 보다는 장애수준에 따라 제시한다.

박 교수는 “장애에 따른 신체·정서·사회 특성을 최대한 세분화 시켜 반영해 도입할 것.”이라며 “장애유형에 따른 세분된 기준을 마련은 어려운 작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체력100사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력인증 제도를 토대로 장애 유형에 맞게 세분화 하고 검사 방법도 늘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애계, “국민체력100사업은 비장애인 기준 사업, 신체측정기기 부터 달리해야”

그러나 일각에서는 국민체력100사업 장애인부 도입연구가 아직 장애인 유형·특성을 고려해 세분돼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꼬집었다.

장애인 선수와 체육계 인사 등 당사자의 시각으로 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광주광역시장애인체육회 이경배 사무처장은 실제 사례를 통해 장애유형에 맞는 신체능력 측정기기 도입을 주장했다.

이 사무처장에 따르면 실제 광주광역시장애인체육회는 휠체어를 타고 신체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했다. 기기를 이용해본 장애인 당사자 또한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 사무처장은 “장애인은 본인의 상태에 어떤 운동을 할 수 있는지, 어떤 운동프로그램이 내 몸에 맞는지 알기 힘들다. 장애인마다 상태에 맞는 올바른 처방이 필요하고, 현재 비장애인 중심의 국민체력100사업 방식과 유사성을 고려하면 안 된다. 또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표본이 부족하고, 본 연구에 장애인 체육계를 대표할 수 있는 인사를 더 투입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재활의학계 인사인 국립재활원 한지아 장애인건강증진센터장은 단순 체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의학과 접목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센터장은 “장애인은 스스로 어떻게 운동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체력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장애인들 각각의 체력상태를 의사 혼자 정확히 알 수 없다. 때문에 병원뿐만 아니라 각 정부 부처들과 협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앞으로 장애인 거점센터를 시범운영하고, 척수장애 분야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보강한다고 밝혔다. 또한 장애유형별로 운동동영상을 제작한다. 또한 국민체력100사업 장애인분야 도입 연구에 대한 최종보고서 초안은 오는 9월 30일에 제출 예정이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