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통해 제언

임신·출산을 위한 보건의료 기반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 의료서비스뿐만 아니라 응급의료서비스와 고위험 임신·출산에 대응하는 서비스까지 지역별 격차 없이 분포되도록 하는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건복지 이슈&포커스에 실린 ‘임신·출산을 위한 인프라의 분포와 시사점(저출산고령화대책기획단 이소영 부연구위원)’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임신·출산을 위한 기반 구축에 대해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군·구별 산부인과 개설 의료기관의 경우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보건기관은 충청도와 전라도를 중심으로 군 지역에 높은 군집을 넓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분만(재왕절개) 가능 의료기관은 수도권과 부산·경상남도에 높은 군집을 형성하고 있어 기반 종류에 따른 분포에서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분만 가능 기반에서 군 지역의 전국 평균 접근 거리는 24.1km로 시 지역의 4.8km보다 약 5배 먼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기반 종류에서 수도권과 광역시, 시 지역에는 병원, 전문병원, 종합병원과 같은 보다 다양한 전문시설이 분포돼 있는 반면, 보건기관의 경우 산부인과 개설 의료기관의 분포가 적은 곳에 위치하는 등 지역별 격차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분포와 접근성에서의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인과에서 제공되는 일반 의료서비스 이외에 분만과 응급의료, 고위험 임신에 따른 의료서비스 등 보다 전문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반 확대 시 동일 시·군·구로 지역을 구분해 한정하기 보다 이용할 수 있는 동선을 파악하고 인접 시·군·구까지 포괄해 기반을 균등하게 분포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