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주요 정신질환의 유병률,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등에 관한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신보건법에 근거해 지난 2001년 처음으로 실시한 이후 2006년, 2011년에 이은 네 번째 조사로서, 지난해 7월~11월 동안 삼성서울병원(연구책임자 홍진표 교수)을 통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5,10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주요 17개 정신질환에 대해 조사된 정신질환 평생유병률은 25.4%(남 28.8%, 여 21.9%)으로, 성인 4명 중 1명이 평생 한번 이상 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년유병률은 11.9%(남 12.2%, 여 11.5%)로, 지난 일 년 간 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한 사람은 470만 명으로 추산된다.

2주 이상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흥미상실, 식욕․수면 변화, 피로, 자살 생각 등으로 일상생활이나 직업 상 곤란을 겪는 주요우울장애의 경우 5%(남 3.0%, 여 6.9%)으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주요우울장애의 일종인 산후우울증을 처음으로 추가 조사했으며, 조사결과 주요 우울장애를 경험한 성인 여성 10명 중 1명(9.8%)은 산후우울증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불안과 공포로 인해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장애를 말하는 불안 장애(강박, 외상후스트레스, 공황, 광장, 사회공포증 등) 평생유병률은 9.3%(남 6.7%, 여 11.7%), 지난 일 년 간 불안장애를 경험한 사람은 224만 명으로 추산된다.

망상이나 환각, 현실에 대한 판단력 저하로 사회, 직업 또는 학업 영역에서 적응에 상당한 문제를 겪는 상태인 조형병 스펙트럼장애 평생유병률은 0.5%(남 0.5%, 여 0.4%)이다.

지역사회에서 일 년간 조현병 스펙트럼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6만3,000명, 입원·입소해 있는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환자 수는 5만명으로, 총 11만 3,000명으로 추산된다.

또한, 평생 한 번이라도 조현병 증상(환청, 환시, 조정망상, 피해망상 등)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약 1.8%로 나타났으며 그 수는 71만명으로 추정된다.

또한 성인의 15.4%는 평생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며, 3.0%는 자살을 계획하고, 2.4%는 자살을 시도했다. 지난 일 년 간 성인의 2.9%가 한 번 이상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고, 0.4%가 자살을 계획하며, 0.1%가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생각자의 50.1%, 자살 계획자의 68.7%, 자살시도자의 75.1%가 평생 한번 이상 정신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와 상의한 적이 있는’ 경우가 전체의 9.6%로 지난 2011년의 7.0%에 비해 약 2.6% 증가했다.

또한, 평생 동안 정신질환을 경험한 국민 중 22.2%만이 정신과 의사 등에게 정신건강 문제를 의논하거나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 2011년의 15.3%에 비해 6.9% 증가했다.

하지만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은 미국 43.1%(2015년), 캐나다 46.5%(2014년), 호주 34.9%(2009년)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이에 정부는 우울증·조현병 등 정신건강 문제의 사전 예방과 조기관리 강화를 위해 2016년 2월 ‘정신건강 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또한, 같은 해 5월 정신보건법을 전면 개정해 국민 정신건강 증진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정부는 올해 정신건강증진센터를 16개소 신설(전국 241개소)해 정신건강 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정신의료기관이 부족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에는 정신보건 전문가가 직접 찾아가는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는 산후우울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보건소(모자보건센터)와 함께 산·전후 정신건강문제를 조기발견하고 지역 정신건강센터, 정신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시범사업을 올해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삼성서울병원 홍진표 교수는 “전반적으로 정신질환 유병률이 감소추세인 것은 정신건강 서비스의 이용률 증가로 인한 예방이나 조기치료의 효과 등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이 적어,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개선과 서비스 접근성 확보 등 정책적 노력이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