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대상자 욕구에 기반한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난 18일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은 서울시민이 복지를 일상생활에서 누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복지욕구를 관리하고, 여러 가지 욕구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구축됐다.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의 사용자는 동주민센터 복지담당공무원, 보건소 방문간호사, 민간복지기관 노인돌봄종사자로 민·관이 함께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그간 공공기관과 민간복지기관에서 각각 운영되고 있는 정보시스템이 있음에도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이 마련된 이유는 분산된 시스템이 복지지원의 중복과 누락을 야기하고, 현장 복지실무자들이 단순 반복적인 수기업무로 복지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은 복지 담당자가 언제 방문했는지, 기관에서 만난 대상자의 욕구가 무엇인지, 어떤 복지자원을 제공했는지, 그리고 복지시설·공공기관간 복지자원이 무엇인지 서로 공유하도록 설계했다.

이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는 누구를 만나든지 자신의 욕구가 기록돼 실시간으로 복지와 건강이 결합된 통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복지자원, 대상자 욕구 등 축적된 기록은 지역 내 복지욕구 분석과 복지자원의 흐름파악을 가능하게 해, 실무자들이 어렵지 않게 지역복지 문제를 진단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서울시는 복지정보화의 1단계인 생활복지통합정보시스템을 시작하고 오는 5월에는 2단계 개발에 들어간다.
   
복지정보화 2단계에는 복지현장 실무자 업무 편의를 위해 전국 최초로 모바일(태블릿)을 시범으로 도입하고 흩어져있는 자치구의 시스템을 통합·연계하며 보훈수당 전산화 등을 통해 현장실무자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복지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복지정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 신종우 복지정책과장은 “복지현장 실무자들이 합리적으로 복지업무를 처리하고, 단순 반복적인 수기 업무 시간을 단축해 사각지대 발굴 등 본질적인 복지업무를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한 “서울시는 2020년까지 복지업무 담당자 누구라도 대상자 복지욕구를 한 번만 입력하면 공유되고 복지와 건강분야의 정보가 모아져 대상자 욕구별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연계해 줄 수 있도록 구축할 예정이며, 그동안 쌓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독사 위험 등 복지의 사각지대를 사전에 발굴 할 수 있도록 복지정보화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