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표준국어대사전에 장애 관련 어휘 등재 요구

표준국어대사전에 ‘시각장애’를 검색했지만, 결과를 찾을 수 없다.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표준국어대사전에 ‘시각장애’를 검색했지만, 결과를 찾을 수 없다.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한국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표준국어대사전을 감시·검토한 결과 ‘복지관’, ‘특수교사’,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 장애 관련 어휘가 사전에 등재돼 있지 않았음을 확인했다고 밝히며 등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국립국어원이 새로운 어휘를 사전에 등재할 때 언론 노출 빈도를 주요 근거로 삼는 점을 참고해 사전에 누락된 장애 관련 어휘가 언론에 얼마나 노출되는지를 조사, 신문 스크랩 서비스 제공업체 아이서퍼에 핵심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를 대상으로 지난해 8월~지난 8월까지 검색했다.

먼저 법정 장애유형 15가지가 사전에 등재돼 있는지 살펴본 결과 정신장애, 언어장애, 지적장애만 있었다. 등재되지 않은 12가지 장애유형이 지난 1년간 언론에 사용된 횟수는 ▲시각장애 2,235건 ▲청각장애 866건 ▲지체장애 471건 ▲뇌병변장애 83건 ▲자폐성장애 82건 ▲신장장애 24건 ▲뇌전증장애 9건 ▲안면장애 7건 ▲간장애 3건 ▲호흡기장애와 심장장애 2건 등이었다.

또 장애인복지 관련 어휘 대부분도 등재돼 있지 않았다. 언론에 노출된 관련 어휘는 △편의시설 2,405건 △복지관 1,709건 △바우처 541건 △스크린도어(안전문) 339건 △활동보조 276건 △이동권 265건 △수화(수어)통역 252건 △장애등급 250건 △사례관리 235건 △저상버스 226건 △직업재활 187건 △전동휠체어 169건 등이었다.

장애인 관련 법률용어는 ▲통합교육 363건 ▲특수교사 213건 ▲장애인복지 208건 ▲장애인의 날 185건 ▲장애인차별금지법 115건이었으며, 이 또한 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이밖에 ‘무장애’ 279건, ‘스페셜올림픽’ 109건, ‘유니버설디자인’ 93건 등 역시 사전에는 없다.

특히 ‘아동복지’와 ‘노인복지’는 사전에 등재돼 있는 반면 ‘장애인복지’는 등재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법정 장애유형은 그 사용빈도의 적고 많음을 떠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어휘이므로 반드시 사전에 등재돼야 한다.”며 “장애인복지가 강화되고 장애인의 사회참여가 확산되면서 10년 전보다 장애 관련 산업, 서비스, 법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는데 국립국어원은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근영 연구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누락된 장애 관련 단어들도 많지만, 기존에 등재된 단어들의 뜻풀이가 시대에 맞지 않고 심지어 엉터리인 것도 많다. 이는 장애 관련 표제어를 선정하고 뜻풀이를 할 때 장애 관련 전문가의 참여나 자문을 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