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 확대에도 수혜 대상은 예년의 ‘반토막’수준 급감

장애인 노동자의 생산성, 노동력을 평가해 최저임금 적용 제외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능력 평가’ 기준이 지난해부터 완화되면서 수 백 명의 장애인 노동자가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실제 수혜자는 예년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실시한 작업능력 평가 결과 최저임금을 보장받은 장애인 노동자는 총 282명으로 직전 5년 평균인 689.4명에 비해 절반 이상 뚝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실

장애인 노동자에 대한  ‘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기준’은 기준근로자의 노동력을 100으로 보고 장애인노동자의 노동력이 70미만이면 최저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일컫는다.

반면 70이상이면 비장애인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최저임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이 기준이 낮아진 뒤 매년 700~800여 명에 이르던 70%대 이상 노동자는 지난해 돌연 282명으로 절반 이상 급감했다.

신 의원은 “2017년 기준 중증 장애인 평균 시급은 비장애인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3,100원 수준이었다.”며 “장애인 노동자도 합당한 임금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으며 노동을 통해 자립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행 작업능력평가가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검토하고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