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1권에 수록된 개별 시 모두 제작 건수로 집계… “과도한 실적 부풀리기” 지적
김예지 의원 “겉보기 성과가 아닌, 내실화에 집중해야”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제작하는 대체자료가, 실제 성과보다 부풀려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0일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체자료 제작 실적이 실제 제작 건수보다 부풀려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는 2017년~2019년까지 매년 7,149건, 7,210건, 7,233건 등 평균 7,200건 내외의 대체자료를 제작하고 있으며, 이 대체자료 제작 건수는 국립장애인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실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김예지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제 대체자료 제작 건수는 상당수 부풀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148편의 시가 수록된 시집 1권의 경우, 독서장애인용 파일 포맷인 데이지 자료로 제작하면서 1권이 아닌 148건의 데이지 자료로 처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현재 국립장애인도서관의 경우 시집 1권을 시집 1건과 시 148편을 모두 더해 총 149건으로 대체자료 제작 건수로 집계하고 있으며, 이렇게 계산된 제작 건수가 국립장애인도서관 전체 대체자료의 50%에 달하고 있다.

개별 건수로 카운트된 시(데이지)의 제작현황.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실
개별 건수로 카운트된 시(데이지)의 제작현황.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실

2017년 사례를 살펴보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전체 대체자료 제작 건수 7,149건 중 앞선 설명과 같이 추가적으로 카운트된 것이 3,877건으로 전체의 54.23%나 되며, 중복된 실적을 제외하고 나면 실제 대체자료 제작 건수는 3,272건에 지나지 않는다.

2018년과 2019년 역시 7,200여 건의 대체자료를 제작했다고 했으나, 2018년에는 42.69%, 2019년에는 44.32%가 앞서 언급한 시집과 같은 방식으로 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부풀려 계산된 것을 제외하고 나면, 결국 실제 제작한 대체자료 제작 건수는 매년 4,000여 건 수준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만약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대체자료를 카운트한다면, 다른 도서 역시 목차 단위로 구분해 등록하고 이를 제작 건수에 개별적으로 카운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책 한 권을 수백 개의 제작 건수로 집계할 수 있는 상황에서, 매년 발표하는 대체자료 제작 건수는 통계적 의미를 가질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국립장애인도서관은 겉보기 성과가 아닌 장애인들에게, 특히 대체자료를 필요로 하는 유형의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보탬이 되기 위한 내실화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며 “국정감사를 통해 문제가 시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개선의지를 밝혔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