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방송 제작 지원, 특화 소프트웨어 개발 등 목표
2025년까지 3단계 걸쳐 진행…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사회 만들 것”

12일 방송통신위원회는 광화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앞으로 정보 취약계층의 방송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책이 추진될 전망이다.

12일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광화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방통위의 소외계층 미디어 접근성 제고 정책은 많은 양적 성장을 이뤘다. 지난 2016년 폐쇄자막 100%, 화면해설 10%, 한국수어 5%로 영국 BBC 수준으로 접근성을 끌어올렸으며, 올해 저소득층 시·청각장애인 TV 누적보급률 100%(10만655대)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아직까지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화를 담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디지털 포용’ 국가기조에 부응해, 미디어를 통한 소외계층 전반을 포용하는 실질적인 종합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방통위는 새로운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발표, 쳬계적인 변화에 돌입하는 첫 걸음에 나섰다.

이번 계획은 2025년까지 3단계에 걸쳐 ▲미디어 콘텐츠 제작 지원체계 강화 ▲포용적 미디어 접근성 보장 ▲디지털 신기술의 포용적 혁신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기반 조성 총 4개 과제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 강화… 장애유형별 맞춤형 교육콘텐츠 확대

우선 방통위는 실질적인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에 나선다.

현행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을 실시간에서 비실시간까지, 지상파에서 일반 PP까지 확대하고, 장애유형별·학년별 맞춤형 교육콘텐츠 제작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아울러 시·청각장애인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페쇄자막, 화면해설로 재제작 지원하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 교육방송물의 대상과 편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방송사, 지역, 부처별로 각기 다른 콘텐츠 표현방식을 관계기관 간 협업을 통해 표준화한다.

이와 함께 수도권에 집중된 제작 기반을 전국 시청자미디어센터로 확대하고, 장애인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해 ‘장애인방송 제작지원 센터’를 구축한다. 

이밖에도 지역사회 장애인방송 활성화와 장애 스타트업 육성, 미디어접근성 콘텐츠 개발, 맞춤형 접근성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개발 중인 프로그램을 시연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 한상혁 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장애인방송 특화기능 ‘셋톱박스’ 개발… 장애인용 TV 보급 지속

실질적인 미디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 추진된다.

방통위는 지난해 기준 32.3%에 머물러있는 장애인용 TV 보급률을 2025년까지 50%로 높여 장애인 당사자들의 방송 접근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 TV 보급 방식을 개선, 기존 특정 TV를 일괄 구매해 보급하는 방식에서 장애인 선택수신기 구매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설명이다. 

더불어 방송사별 화면해설방송 플랫폼을 하나의 전용 플랫픔으로 통합 구축한다. 그동안 방송사마다 별도의 화면해설방송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어, 이용을 위해서 각 플랫폼을 방문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통합된 전용 플랫폼을 구축해 장애인 당사자의 플랫폼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방송 제작비 지원 대상 방송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해 폭 넓은 콘텐츠 확보에 나선다.

특히, 유료방송에 가입한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장애인방송 특화기능 셋톱박스’를 개발한다.

현재 자막크기, 위치조정, 음성안내 등 장애인방송의 특화기능을 유료방송 셋톱박스에 탑재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며, 향후 셋톱박스 개발단계에서 장애인방송의 범위, 구현방식 등 기술 표준화도 함께 추진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아바타수어 자동 생성시스템.

장애인 특화 소프트웨어 개발 등 부처간 협업 추진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기술 개발에도 힘을 보탠다.

방통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R&D 협업으로 장애인 특화기능 소프트웨어 개발에 돌입한다. 소프트웨어는 일반 스마트TV에 탑재되며, 장애·비장애인의 자유로운 선택권을 보장할 방침이다.

또한 장애인, 고령층 등이 재난정보를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음성해설, 수어, 애니메이션 등 맞춤형 재난정보 전달서비스를 개발한다. 해당 서비스는 TV를 비롯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단말기로 확대해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공지능을 활용한 아바타수어 자동 생성시스템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향후 한국수어 번역 엔진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수어동작 데이터를 확대해 신기술을 대폭 도입한다는 설명이다.

이밖에도 시각장애인용 콘텐츠 확대를 위한 음성합성기술 고도화, 방송장면 인식기술, 화면해설방송용 인공지능 음성 합성·편집 기술도 함께 개발한다.

방통위 “디지털 환경에서 차별받지 않도록 할 것” 강조

한편, 방통위는 미디어 포용 법·제도 개선에도 힘을 보탠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변화에 발맞추고자 한국수어방송 의무비율을 현행 5%에서 7%로 높이고, VOD와 OTT 등 비실시간 방송에서의 장애인방송 제공 의무화도 함께 추진한다.

또한 유료방송 셋톱박스와 일반 TV 제조 시, 시·청각장애인 특화기능이 구현되도록 ‘시·청각장애 보조방송서비스 표준’도 개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소외계층 의사결정기구참여 법제화 △장애인방송 품질평가 제도 도입 △장애인미디어접근성 종합 법제 마련 및 5개년 종합계획 수립 등에 나선다는 목표다.

방통위 한상혁 위원장은 “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은 당연한 권리이며, 이를 위한 정책은 정부의 의무.”라며 “지금까지의 정책이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 전략 하에 이뤄졌다면, 이제부터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전환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어 “누구도 차별받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모두가 함께 동참하길 바란다.”며 “방통위도 디지털 환경과 비대면 사회에서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