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0만 원 투자한 신규 일자리, 지난해 취업자는 단 4명
환경정리, 장애인 주차구역 정리 직무에 취업 인원 74% 몰려 있어
최혜영 의원 “사업 취지에 맞는 직무 개발, 일자리 연계 필요해”

지난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이하 개발원)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 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지난 5년간 개발원이 개발한 직무에 취업한 인원은 단 2.8%로 집계돼, 개선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개발원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 중 어린이 동화구연·캠핑장관리·템플스테이 보조업무 등 직무는 최근 5년간 취업 인원이 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은행서비스 안내(1명) ▲대형서점 도서정리(3명) ▲반려동물돌봄(9명) 등을 포함해 전체 직무 중 절반에 가까운 16개는 취업 인원이 두 자리수를 넘지 못했다.

특히, 지난해 총 5,400만 원을 투자해 개발한 온라인 콘텐츠 모니터링, 스포츠영상 촬영·편집, 직무에 취업한 인원은 단 4명에 불과했다. 

2021년 개발한 장애인 일자리 직무 및 취업자 현황. ⓒ최혜영 의원실
2021년 개발한 장애인 일자리 직무 및 취업자 현황. ⓒ최혜영 의원실

이와 함께 개발원이 복지부로부터 이관받아 사업을 수행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개발된 직무의 실적이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말 기준, 최근 5년간 개발원 사업수행 이전부터 시행 중인 21개 직무에는 5만8,000여 명이 취업 연계(97.2%)된 반면, 개발원이 2014년 이후 개발한 17개 직무에는 1,700여 명(2.8%)이 취업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개발원 수행 전부터 지속된 직무 중 환경정리·장애인 주차구역 정리에 전체 장애인 취업자의 74%가 몰려있어, 새로운 일자리개발을 통해 다양한 일자리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성적 연계가 이어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최근 5년간 가장 취업 인원이 많은 직무 현황. ⓒ최혜영 의원실
최근 5년간 가장 취업 인원이 많은 직무 현황. ⓒ최혜영 의원실

한편, 일자리 다양성과 실효성뿐만 아닌, 사업량 자체도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장애인 일자리 사업 관련 민원 분석 결과(2020년)’에 따르면, ‘일자리 사업 참여 확대’에 대한 민원이 41.5%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사업량은 약 2만 명으로, 장애인개발원이 추산하는 장애인 일자리 사업 잠재 참여 수요 11만5,866명 중 21%만 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최 의원은 “장애인 일자리 제도는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와 소득보장을 위한 것인데, 직무를 개발하고도 실제 일자리에 연계하지 못하고 있다.”며 “장애인 당사자의 다양한 욕구와 사회 변화를 반영한 직무를 개발하고, 무엇보다 개발한 직무에 실제 취업까지 달성해야 일자리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어 “장애인 일자리 제도가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고, 탈시설 정책이 추진되면서 지역사회에서 자립하는 장애인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인 일자리 수가 크게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