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발표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환경 조성, 개별 맞춤형 지원 확대
장애영유아 의무교육 보장, 학교장애인식지수 활용 등 교육 내실화

지난 28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교육부
지난 28일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교육부

앞으로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른 맞춤형 특수교육이 대폭 강화된다.

또한 장애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환경이 조성돼 두터운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 28일 교육부는 장애유형·정도에 따른 맞춤형 특수교육을 위한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2023~2027)’을 발표하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해당 내용을 심의했다.

이번 계획은 사회적 약자를 두텁게 지원하고, 국가책임 강화로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와 교육현장의 다양한 의견 등을 담아 마련됐다

이를 위해 ‘모두가 존중받는 국가책임 맞춤형 특수교육 실현’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학생중심 전달체계 내실화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강화 ▲개별 맞춤형 특수교육 확대 ▲장애인 고등·평생교육 기회 확대 등 4대 추진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학생 중심 ‘특수교육 전달체계’ 내실화

앞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전달체계가 강화된다.

먼저, 장애영유아 지원을 위해 교육·복지·의료체계를 연계, 장애(위험) 발견 즉시 보호자에게 특수교육 정보를 안내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관계부처 협력으로 교육·보육기관 실태조사를 통해 두 기관 간 특수교육 격차를 단계적으로 해소한다.

이와 함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중심지 기능을 강화해 학교와 지역 내 관계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학교 내 장애학생 맞춤형 지원과 사례관리 등을 위한 전담인력, ‘특수교육 코디네이터(가칭)’를 운영할 계획이다.

특수학교와 학급도 다양화된다. 예술·체육 등 특정 분야에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학교 모델을 확산하고, 소규모·단일과정 등 특수학교 설립 형태를 다양화한다.

특히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 보장을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을 올해 1,437개에서 오는 2027년까지 1,837개로 확충하고, 통합유치원도 2027년까지 올해 대비 9개 늘어난 17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특수교사 수요 예측을 통한 중·장기 특수교육교원 수급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 지원’ 강화

장애학생들을 위한 통합교육 여건도 개선된다.

교육정책 추진 시 특수교육대상자를 고려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사전 점검(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하고, 통합학급에 있는 장애학생의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 배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학생과 교원의 장애인식 수준을 진단하는 ‘학교장애인식지수’를 개발, 오는 2024년부터 초·중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현직교원 연수,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 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강화하고, 통합교육 협력모델인 ‘정다운학교’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
ⓒ교육부

이와 함께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반 장애이해체험존과 장애인식개선 동아리를 확대하고,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대상을 각급 학교 학생과 교직원에서 학부모까지 확대한다.

아울러 장애학생의 인권 보호를 위해 교육정보시스템(NEIS) 기반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 조사를 내실화하고, 범부처 인권실태 점검과 인권지원단의 현장중심 지원을 강화한다.

장애학생 ‘개별 맞춤형 특수교육’ 확대

교육부는 장애학생에 개별 특성에 따른 특수교육 지원에 힘을 보탤 방침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혁신기술을 적용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원격교육 플랫폼(열린배움터)을 운영한다.

그 일환으로 인공지능(AI)교육 선도 특수학교를 오는 2027년까지 34개교로 지정·운영하고, 지역·민간 자원을 활용한 지능형 로봇활용 교육 등을 지원한다.

장애유형·정도에 따른 교육을 위해 중도 중복 장애학생이 배치된 학급의 학생 수 감축, 가상 체험교육과 소규모 교육활동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굴·지원한다.

또한 장애학생의 심각한 행동문제에 대한 집중 지원, 지역 기반 방과후교육과 돌봄 지원체계 강화 등 지원이 필요한 곳을 두텁게 지원할 계획이다.

진로·직업교육 다양화를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기존 학교 중심의 전공과를 대학 또는 지역사회 연계 기반으로 확대해 진로·취업 경로를 다양화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해 장애학생 취업지원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장애인 ‘고등·평생교육’ 기회 확대

한편, 장애학생을 위한 고등·평생교육에 대한 통합적 지원이 이뤄질 계획이다.

장애대학생에 대한 통합적 지원을 위해 중앙 단위의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해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장애학생의 이동 등 접근성 제고를 위해 ‘장애학생 지원 거점대학’을 오는 2027년까지 15개교로 늘린다.

또한 모든 대학에 장애학생지원센터 또는 지원부서를 운영할 예정이다.

지역별 기반 조성 지원을 위해 일반 평생학습도시 수준을 목표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오는 2027년까지 100개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저소득층 장애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도록 이용권(바우처)을 지원하고, 장애유형과 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보급한다.  

이번 계획은 시·도교육청에 안내될 예정이며, 각 교육청은 5개년 계획의 내용과 해당 지역의 여건 등을 고려한 시·도별 계획을 마련해 추진한다.

향후 교육부는 매년 시·도교육청의 세부과제별 이행사항을 점검해 주요 성과 목표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디지털 기술발전 등 미래교육 전환의 흐름 속에서 장애학생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원하겠다.”며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수립이 모두가 존중받으면서 개별 맞춤형 교육을 받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비전과 4대 추진 전략. ⓒ교육부
‘제6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비전과 4대 추진 전략. ⓒ교육부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