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체육진흥법 개정과 함께 장애인체육이 보건복지부에서 문화관광부로 이관됐고 결국 대한장애인체육회 탄생이라는 열매를 맺게 됐다. 장애인체육이 하나의 스포츠로 인정받는 새 도약의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이제 겨우 첫 발을 내디딘 장애인체육의 갈 길은 멀기만 하다. 단 3명의 선수만이 출전해 노메달로 돌아온 토리노동계장애인올림픽이 우리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장애인체육의 발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28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장애인체육의 발전방향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예산확보와 조직정비 없이는 곤란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한국체육대학교 한민규 교수는 올해 장애인체육예산은 109억1300만원으로 문광부 체육국 예산의 2.7%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또한 대한장애인체육회의 올해 국고 예산이 겨우 26억8000만원, 국민체육진흥기금은 38억1000만원이나 대한체육회는 각각 336억, 341억이라고 발표했다. 등록된 장애인이 177만명을 넘어서고 인구의 10% 정도를 장애인구로 추정하는 WHO의 기준을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한 교수는 안정적 재정확보를 위해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원액 확대 △각종 기업체 및 공익재단 기부금 유치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수익사업 증대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순천향대학교 전혜자 체육학과 교수는 예산 확보와 인식 개선을 위해 스포츠 마케팅 도입을 강조하며 “국민의 관심 증대와 인식개선을 위한 마케팅 전략과 홍보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휠체어농구의 경우 비장애인과 함께 하는 경기를 SK광고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국민들에게 경기종목을 알리고 장애인체육의 인식을 바꾸는데 큰 역할을 했다”며 “이미지를 제고하는 전략적 브랜드화나 기업의 사회공헌 등 다양한 콘텐츠와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력 확충과 장애인체육지도자 양성도 토론회의 이슈로 떠올랐다.

한국재활복지대학 오광진 교수는 미국은 특수체육 지도자를 위한 표준지식 APENS를 개발, 장애인체육지도자를 양성해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자격시험과 같은 장애인체육지도자를 위한 기준마련과 양성 및 배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오 교수는 “장애인체육지도자에 대한 데이터가 전무하다”며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수과정 및 자격증 제도를 마련해야 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장애인체육회 이명호 경기운영부장은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확충의 필요성을 토로했다.
이 부장은 “대한장애인체육회 경기단체 사무국직원을 예로 들면 유급 직원은 17명, 무급 직원은 7명으로 가맹단체가 30개임을 감안하면 매우 부족한 인력”이라며 “전문체육의 향상을 위해 인력확충을 통한 조직정비가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