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부문에서 기업과 장애인의 시각차가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기업은 알맞은 인재가 없어서 장애인채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주장이나 장애인들은 적합한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구직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지난 7월부터 12월까지 2차에 걸쳐 실시한 ‘2005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을 1인 이상 채용한 기업의 60.2%가 장애인채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그 원인으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업무에 적합한 장애인력 부족(39.6%)을 꼽았다. 또한 장애인 채용 시 1순위로 중시하는 사항 역시 업무능력(36.1%)이라고 답했으며 기술ㆍ기능의 습득이 가장 필요한 업무능력인 것으로 조사됐다. 업무에 적합한 능력을 갖춘 인재가 없기 때문에 장애인채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에 반해 상기 기업들에 근무하는 장애인근로자들은 구직활동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적합한 일자리가 없다(30.6%)에 손을 들었고, 취업알선기관에 1순위로 요구하는 사항 역시 능력에 알맞은 취업알선(35.8%)이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고용된 장애인근로자의 학력 수준은 높은데 반해 근무직종은 단순노무ㆍ생산기능직에 편중돼있어 적합한 일자리 부족을 뒷받침하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가 전체 장애인의 73.1%를 차지했으며 실제 근무직종은 단순노무직이 27.6%, 장치ㆍ기계조립직이 23.7%로 나타났다.

이같은 장애인과 기업 간 업무능력과 직종에 대한 괴리를 좁히기 위해서는 직업교육과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조사결과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업능력개발훈련 실시율은 14.5%로 비장애인의 훈련실시율 17.3%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실업기간 중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장애인근로자는 전체 장애인근로자의 6.4%에 불과했다.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훈련을 받을 필요가 없어서가 46.3%로 가장 높았다. 더욱이 실업기간 동안 받은 직업훈련의 현재 종사하는 업무와의 관련성에 대해 낮다, 매우 낮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41.8%로 실질적 업무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훈련을 기피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애인근로자의 업무능력 향상과 직장생활 적응을 위한 작업지도원, 직업생활상담원 등 장애인 고용관리인력을 제공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7.8%, 장애인을 위한 작업시설을 제공하는 기업은 2.6%에 불과해 업무환경의 지원 역시 매우 미비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전체 사업체 295만8000개 중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는 6만4000개로 1.33%의 고용률을 보였다. 장애인의무고용률 2%에 못 미치는 수치다. 특히 서울지역의 고용률은 0.9%에 머물러 낮은 고용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300인 이상 사업체의 고용률은 1.09%로 가장 낮아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한편 장애인근로자의 안정된 직장생활을 위해 제공돼야 할 사항으로 기업과 장애인 모두 임금보조를 1순위로 꼽아 경제적 지원이 가장 시급함을 알렸다.

장애인의 현 직장 월평균 임금수준은 157만4000원으로 일반근로자의 평균임금 240만원의 65.4%에 불과했으며 월평균 희망임금은 197만1000원으로 현재 임금수준은 희망임금수준의 79.9% 수준인 것으로나타났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