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홈페이지에 대한 시각장애인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20개 장애인단체가 참가하는 장애인사회참여평가단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장애인의 정보접근’에 대한 주제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 공공기관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나 형식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각장애인 전용 홈페이지의 경우 최신 정보가 올라오는 속도가 늦고 정보량도 일반 홈페이지에 비해 매우 낮은 실정으로 드러났다.

분야별로는 조사한 50개 기관 중 정부기관의 65.2%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텍스트를 제공하고 있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방송언론기관, 금융기관, 장애인관련기관의 6~70%가 대체텍스트를 부적절하게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장애인관련 기관 11개 중 8개 기관에서 대체텍스트 제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보건복지부 김강립 장애인정책팀장은 대부분 재정형편이 열악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장애인사회참여평가단이 방송영역에서 정보접근성을 조사한 결과 수화통역화면이 너무 작거나 화면 내용과 자막 내용이 맞지 않아 수화통역방송의 경우 청각장애인 10명 중 6명이, 자막방송의 경우 4명이 절반 이하의 내용만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은 전체의 4%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와 달리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장애인 500명을 대상으로 전문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한 조사 결과 정부의 정보화 정책과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점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신청방법에 있어서는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들의 특성에 맞게 전화나 인터넷 신청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정보접근’에 대한 장애인사회참여평가단의 평과 결과를 관계부처에 통보, 향후 각 부처의 정책 추진 시 개선대책을 마련하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일회성 평가가 아닌 지속적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소 2년마다 동일한 주제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 5월 구성된 장애인사회참여평가단은 매 분기별 새로운 주제로 평가활동을 펼치게 되며 다음 주제로 의료보장영역을 확정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