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어딘가 몸이 아프고 활동하기 힘든 사람’이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모두들 입버릇처럼 말하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덕분(?)에 노인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달라진 듯 하다. 정부와 각 단체, 기관에서는 노인의 일자리 창출과 노인건강, 활동을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고, 고용 사이트에는 노인인력을 채용하겠다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이로 인해 고령자 고용률이 점차 증가해 현재 약60%에 이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제는 다른 데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자라 함은 55~64세까지의 노인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 취업률 통계에는 65세 이상 노인들에 대한 자료가 취합되지 않은 상태다.

국민 평균 건강수명 68.6세의 시대에, 진짜 고령자들은 ‘고령자’의 범위에 속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루에도 수십 건씩 쏟아지는 고령자 채용정보와 노인 일자리 창출사업은 실질적인 고령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한 것이다. 또한 구직업체의 채용연령 역시 일반적으로 65세 이하를 표면화 하고 있지만, 실제로 64,5세의 노인이 지원해 면접을 볼 경우 60세가 넘었다는 이유로 취업시키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65세 이상의 건강하고 젊은 노인들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활발한 사회적 활동을 원하는 노인들 역시 많아지고 있다. 진정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고 노인들에게 사회적 활동의 기회를 주고자 한다면, 고령자의 범위부터 확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에 대한 인식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정부와 각 단체들의 노인대책들이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일할 수 있는 노인은 많지만 일할 곳이 없다’는 한 취재원의 말이 잊혀지지 않는다. 노인인력을 제대로 활용하고,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어느 특정한 범위에 국한된 ‘고령자’가 아닌 더 많은 노인들이 포함돼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에 대한 탄탄한 사회적 기반이 마련돼 수박 겉핥기에 그치는 고령화 대책이 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