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는 개인의 약함을 인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개인의 권력이 크고 재물이 많다하여, 무한정 강한 것은 아니다. 권불십년 화무십일홍(權不十年 花無十一紅)이 아니던가. 누구나 태어나면 죽음에 이르는 모래시계가 작동하기에, 인간은 그저 약하고 짧은 존재이다. 그래서 어느 사회든 더 어려운 약자를 위해 나눔문화는 있었고, 그 문화가 시혜적이냐, 제도적이냐의 차이만 있었다.

반면, 공권력은 강하고 또 엄하다. 강제로 세금을 거두고, 국민을 징발하고, 죄를 지으면 감옥에 가두고, 재산마저 몰수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민주주의가 성숙되면서, 제도적으로 개인에 대한 보호와 구제가 명문화되기 시작했다. 제도적이란 말은 국가 스스로가 사회적 약자인 국민을 책임지겠다고 족쇄를 채운다는 의미이다. 그 족쇄가 단단할 수록 복지사회라 부르는데, 그일을 담당하는 공무원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일부 공무원들의 비리가 늘 문제였다. 최근 양천구청 한 공무원의 보조금 횡령이 들통나면서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재발방지를 위해 투명성을 강화하고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한다. 이런 부산도 반복되어온 것을 우리는 기억한다. 그렇다보니 적발되면 재수없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횡재하는 노하우가 새롭게 개발되고 있지는 않는지, 우려와 불신이 앞서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걱정이 앞선다. 전국적으로 보조금비리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의 권리조차 알지 못해, 아파도 치료받지 못했을 사람들, 아이들에게 따뜻한 옷 한 벌 입히지 못했을 그들의 순결한 영혼앞에, 족쇄풀린 비리공무원들의 영혼을 횡령하여 제물로서 용서를 구하고 싶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