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최근 미국 굳윌산업 2008년 연차보고서를 접하면서 복지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됩니다.

2008년 미국 굳윌은 공장만 해도 160개가 있고 미국 내에 굳윌상점이 무려 2만5천개에 달하고 있으며 세계의 28개 나라에 굳윌지점을 두고 있고 고용되어있는 인원만 해도 60만 명에 달한다는 보고서를 밝히고 있습니다.

정말 이 숫자로 볼 때 경이롭지 않나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우리나라에 굴지의 대기업이라고 일컬어지는 삼성, 현대, SK, LG 모두 합친 고용인원이 60만 명 정도라고 하는데 그 인원을 굳윌산업, 복지산업 하나에서 고용을 하고 있다는 것은
정말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이 크다는 생각도 갖게 됩니다.

굳윌산업이 어떻게 해서 출발되었는지 그 경제사회적인 의미를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굳윌산업은 1905년입니다 지금으로부터 100년도 넘었던 기업인데 당시에 미국이 경제적으로 불황을 당했을 때 제일 고난 속에 빠져있던 사람들이 65세 이상 노인이었고 중증장애인이었고 어머니 혼자 아이를 키우는 모자세대였고 또 한 부류는 갓 이민을 와서 언어적으로 불편했던 이민초년생들이 불황의 무방비로 당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인 약자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그런 사람들이었습니다.

헤름즈라는 목사님은 그 광경을 보고 어떻게 하면 이 사람들에게 일단 살릴 수 있겠느냐
그래서 나눔 운동을 전개했던 겁니다.

그 나눔 운동의 시발이 헌 옷가지를 그 분들에게 나눠주기 위해서 모으고 또 그 떨어진 청바지를 수선하는데 제공하는 그런 노동력을 임금으로 계산해서 고용을 창출시킨 결과 재활용 나눔 운동과 고용창출운동, 이 두 운동의 산실이 바로 굳윌에서 이뤄졌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굳윌이 연속적으로 계속적으로 하나의 복지사업으로써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것은 기증물품에 대한 세제혜택을 주었다든지 이런 정부에서의 하나의 제도적인 노력이나 뒷받침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나눔 운동과 아울러서 고용창출운동을 함께 펼친 그 성공모델(굳윌산업)이 있었기 때문에 미국에서 오늘날 이 복지사업을 통해서 하나의 경제와 복지 양면을 함께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합니다.

우리도 지금 심각한 경제위기에 빠져있습니다.

65세 이상 되는 노인들의 일자리 부족합니다.

장애인의 일자리도 심히 부족합니다.

또 모자세대 ,우리나라에 시집을 와서 여기서 둥지를 틀어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 가족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분들에게도 자활과 자립의 꿈이 실현될 수 있는 우리의 복지산업, 이런 복지적인 기업도 만들어져야 되지 않나하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경제와 복지 이것이 양면이 있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굳윌산업을 보면서 경제와 복지는 하나라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