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우리 곁을 떠났지만 \'행동하는 양심\'은 우리를 지켜주고 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을 수식하는 용어는 행동하는 양심 이외에도 수없이 많습니다. 인동초, 인권, 민주화, 화해와 용서에 이르기까지 그분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특별히 김 전 대통령은 복지 대통령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왜냐하면 그분이 가지고 있는 남다른 복지의식과 복지철학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로 1997년 세계 장애인의 날, 그날 주체 중간에 그곳에 와서 두 가지 복지 정책을 펼칠 것을 천명을 하셨습니다. 그때 했던 것이 중증?·중복 장애인이라도 생산적 복지를 실현하겠다. 그리고 적어도 복지는 노인, 장애인, 모자 세대. 삶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취약계층에게는 국가가, 정부가 책임을 지는 \'국가책임주의\'를 구현하겠다는 것을 말씀을 했습니다.

취임 하자마자 김 전 대통령은 복지개혁드라이브를 펼쳐 나갔던 것입니다. 그래서 김 전 대통령이 펼쳤던 하나의 복지정책의 근간이며 뿌리가 국가책임주의구현에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1997년 IMF를 거치면서 당시만 해도 기초생활보호대상자나 소외계층, 취약계층이 수급권자로 있던 사람이 37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2000년도에 기초생활보장법을 만들고 손질하면서 기초생활보호제도를 명실 공히 공고히 세웠던 분이 김 전 대통령이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기점으로 해서 국가가 적어도 가난한 사람, 굶주린 사람에 대해서 책임을 지고 지원하는 정책을 펼쳤던 것입니다.

종래까지는 시혜적복지에 머물러있었다면 적어도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이것을 하나하나 만들어나가고 다듬어나갔다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겠습니다. 다음으로는 생산적 복지의 패러다임을 도입을 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가장 복지정책의 개혁 드라이브는 \'생산적 복지\' 라는 코드였습니다. 영어로는 productive welfare. work to welfare. welfare to work 이렇게 번갈아가면서 사용을 하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공략을 했던 겁니다. 아무리 심한 중증·중복장애인도 노인도 일을 통해서 복지를 부과하자하는 것이 생산적 복지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그래서 장애인 쪽에서는 장애인고용촉진 밑 지급재활법이라는 것을 개정으로 새롭게 만들고, 그 법에 따라서 지원을 하면서도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증장애인에게도 취급재활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했습니다.

노인에게 있어서도 일자리를 개발해주고 노인 일자리 센터를 중점적으로 육성해나간 것이 김 전 대통령의 장애인, 노인 복지정책의 하나의 단면이라고 설명드릴 수가 있겠습니다.

아울러 김대중 대통령께서는 정부부처로 정보통신부를 만들어서 IT쪽을 통해서 장애인, 노인, 여성, 농어민, 심지어 새터민에 이르기까지 지원체제를 공고히 하고 특히, 정보격차해소를 통해서 통합사회로 이끌어내는데도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김 전 대통령을 통한 하나의 복지 개혁은 오늘날까지 우리사회에 일을 통한 복지로, 생산적 복지로 또한 국가책임주의가 복지사회의 복지국가의 뿌리가 된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 억눌린 사람, 차별받고 있는 사람, 장애인, 노인, 여성, 새터민, 다문화 가족에 이르기까지 김 전 대통령은 때로는 다정한 친구로, 어버이로, 진정 우리의 대통령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다시금 의미케 합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