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K))최근 국내총생산 지표가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행복지수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행복지수를 조사한 각종 자료에서 우리나라의 행복지수가 낮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이에 대해 문성필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INT 시민 인터뷰
“자기 좋은 일 하면 그것이 바로 행복이 아닐까요.”

INT 시민 인터뷰
“건강해야 행복해 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국민들이 생각하는 행복의 조건은 물질적인 만족 외에도 다양합니다.

기존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삶의 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행복지수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행복지수는 고용ㆍ보건ㆍ교육ㆍ환경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사회경제 지표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 동안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우리 국민이 느끼는 행복지수는 그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3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지수 결과 한국은 삶의 만족도, 소득, 일과 삶의 균형, 공동체 생활, 주거환경 등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34개국 가운데 26위에 머물렀습니다.

또 지난 4월 발표한 유엔 세계행복보고서에도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등 북유럽 강소국들이 대거 상위권에 포진한 가운데 한국의 행복점수는 10점 만점에 5점대 후반에 그쳐 조사대상 156개국 중에 56위를 차지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소득이 낮은 말레이시아ㆍ태국보다도 낮은 결과입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에만 집중해 경제 수준에 맞는 복지 정책을 갖추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또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행복 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삶의 질의 향상과 함께 개인과 가족, 사회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합니다.

INT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박사)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정책과 중산층을 위한 삶의 질 향상정책 이런 부분들은 지속돼야 합니다. 소득과 일자리와 관련된 정책을 확대함과 동시에 가족생활과 직장생활, 사회생활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정책을 광범위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GDP기준 세계 15위, 1인당 국민 총 소득 2만 2천 달러를 돌파하는 등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우리 국민들이 경제 성장에 걸맞는 삶의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양적 성장 위주의 현 정책에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복지TV뉴스 문성필입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