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결혼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는 이주자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춰 정부가 혼인이주 현상을 인구학적 관점으로 풀어보고, 향후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인구학회가 지난 15일 프레스센터에서 다문화 가족의 한국사회 적응과 사회 통합을 논의하기 위해 “혼인이주현상에 대한 인구학적 조망”에 관한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여성가족부의 2011년 조사에 따르면, 국제결혼 건수는 3만 4천여 건으로 전체 혼인건수의 10.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혼인이주자와 다문화가족 자녀의 수는 22만 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토론회에서 기조 발표를 맡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림 박사는 혼인 이주자 대부분이 영주권 소지자이고, 국내에서 계속 출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어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 박사는 중장기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신규 유입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정부의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SINK 이상림 박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정책이 지금의 초기 적응 지원형에서 앞으로 중장기적으로는 생활 정책 지원형으로 바뀌어야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당장 바꿔야 된다는 얘기도 아니고 중장기적으로 이런 방향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배재대학교 이혜경 교수는 다문화정책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기본에 충실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 교수는 혼인이주자에게 초기의 언어지원이 가장 중요하다며, 보다 많은 혼인귀화자에게 한국어 교육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이 자리에서 여가부는 정부와 민간, 각계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다문화가족정책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촬영-취재: 김용균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