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자살에 대한 현상과 진단 그리고 대안’ 주제로 강의 열려

▲ 김명희 강사가 '한국사회 자살에 대한 현상 진단 그리고 대안'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 김명희 강사가 '한국사회 자살에 대한 현상 진단 그리고 대안'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자살문제를 진단하고, 대안 책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사회 자살에 대한 현상과 진단 그리고 대안’이라는 주제로 24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강당에서 강의가 열렸다.
이 날은 한국사회의 자살에 대한 이해와 오해를 바탕으로 ▲자살이 발생하는 이유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과 해석 ▲한국사회에서의 자살 ▲자살의 환원문제를 다뤘다.

최근 쌍용자동차 노동자 자살, 사회복지사들의 연쇄자살 등 자살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이를 두고 김명희 강사는 자살을 하는 원인을 고민해야하며, 그 원인들을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김 강사에 따르면 한 사회의 도덕 구조나 사회적 조건이 개인을 자살 하게하며, 우울증이나 경제적인 문제가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계기라는 것.
따라서 과거 전태일의 분신자살이 법과 사회 구조 현실의 괴리에서 있었던 사건이고, 현재 쌍용자동차 사건과 사회복지사들의 자살 같은 경우도 똑같은 사회 구조 내의 힘의 작용해 있다는 견해다.

또한 앞으로도 같은 사회적 조건이 남아있다면 같은 일이 발생 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

한편, 통계청조사 결과는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경제적인 문제를 꼽는다.

한국사회는 OECD 34개 국가 중 8년 째 자살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이상 자살은 남의 얘기가 아니며, 자살현상을 개인의 문제만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개인이 속해 있는 집단 단위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자살현상에 대해 김 강사는 “자살이 IMF시기 이후에 활발해진 현상으로 알지만 그 이전부터 존재했고 훨씬 뿌리 깊은 문제.”라고 설명했다. 7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심화에 따라 노동자의 자살이 증가 했고, 외환위기와 구조조정의 여파로 자살수가 급증한 것은 사실이지만, 비슷한 상황을 겪은 다른 나라들은 자살률이 낮아지는 반면 한국의 자살 비율은 떨어질 줄을 모른다는 것.
하지만 사회는 70년대 이후부터 자살을‘우울증화’시켜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고 있으며, 사회적 차원임을 감춰버리는 것이 문제다.

그 예로, 과거 보호관심병사의 재활을 맡고 있는 그린캠프에 있다가 나온 지 일주일 만에 자살한‘황이병의 죽음’을 들었다.“그의 일기를 보면 그곳에서 정신이 얼마나 망가졌는지 알 수 있지만 군대는 그의 자살을 과거 우울증과, 가족의 불화 문제로 떠넘겼다.”며 “군대라는 사회의 구조적인 힘 아래 ‘관심병사’라고 개인에게 낙인을 찍고 그린캠프에 가둬서 죽은 것인지, 개인의 성향 문제로 죽은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끝으로 김 강사는 “자살과 정치의 관계는 분리할 수 없으며, 이 둘 사이에는 인간에게 고통을 느끼게 하는 제도들과 힘이 있다. 따라서 자살의 문제를 우울증이라고 환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지만, 그 가설을 벗지 못하고 있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어 질의 응답시간에 한 참여자는 ‘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이나, 자살을 결심할 때 도움 받는 법 등’에 대해 질문했다.

김 강사는 “자살의 문제는 국가에게만 맡겨둘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예산을 많이 투입해서라도 지역공동체에서 예방차원으로 체계를 만들어 도움이 필요한 순간 개인에게 생각할 시간을 벌어 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답했다.

한 참여자는 노원구를 예로 김 강사의 주장을 뒷받침 했다. 그는 “3억 원의 예산투입과 함께 실제로 자살을 많이 하는 다세대 저소득 주택이나 노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직접 방문하는 노력 결과 자살률을 줄였다.”며 “지역공동체 별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울 게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