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움 개최

▲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움 현장
▲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움 현장

나와 다른 인종과 다른 문화를 지닌 사람들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인다는 의미의 ‘다문화 수용성’.

국내 체류 외국인이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수준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한양대 백남학술관에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심포지움이 열렸다.

이날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김경근 교수는 “한국 성인의 다문화 수용성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우려스러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은 지난 2006년 약 91만명에서 10년도 채 되지 않은 2015년 5월 약 184만 명으로 추정될 만큼 빠르게 증가했지만, 한국의 다문화 수용도는 ‘제자리’라는 이야기다.

‘세계가치관조사’ 조사 국가 중 한국 ‘최하위권’

김 교수는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제6차 ‘세계 가치관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성인들 가운데 ‘다른 인종의 사람을 이웃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진 비율은 34%로 전체 국가 평균인 19%보다 15%p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조사 대상 국가 59개국 중 51위를 기록할 만큼 낮은 수준이었는데, 지난 2차시기(1990-1994) 당시 57.9%에서 4차시기(1999-2004)에 34.7%로 떨어진 이후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여러 다문화 정책이 실시됐음에도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와 이민자를 이웃으로 받아들이는 데 따른 거부감’ 조사에서는 44%가 거부감을 나타냈는데 이는 전체 국가 평균인 25%보다 19%p가 높은 수준으로 59개국 중 54위를 나타내며 더욱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배경 특성별로 다문화 수용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성별’과 ‘사회계층’에 따라서는 다문화 수용성 수준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수용성 향상… ‘교육’이 핵심적인 역할 해야

김 교수는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의 역할을 강조했다.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초기에는 나와 다른 인종과 문화를 받아들이는 ‘관용’의 덕목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는데 ‘관용’은 ‘교육’을 통해 내면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국 성인이 다문화 받아들이는 데 교육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며 “학교 교육을 통해 어려서부터 튼실한 다문화 수용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문화주의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계몽적인 내용의 교육보다 공동체적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에 잔존해있는 단일민족사관과 자민족중심주의에 기초한 교과과정을 시정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교육개발원의 류방란 씨는 앞서 김 교수가 발표한 외국인 근로자와 이주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는 거부감 조사를 예로 들며 “다문화 수용성에 ‘교육’이 기여한다면, 교육은 ‘출신국의 위상’ 등의 편견을 극복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움에서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육방안’에 대해 발표한 한양대학교 다문화교육센터의 부향숙 센터장도 “청소년에게 적합한 다문화 교육은 미래의 청소년들이 살아갈 사회를 상상하게 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글로벌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반면 ‘다문화교육 전문강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시론적 제안’을 주제로 발표한 방송통신대학교 정민승 교수는 “많은 다문화 교육을 해왔지만 다문화 수용성 수준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좋은 다문화 교육을 했다고 해서 학습자의 태도를 변화시킨다고만은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변화를 위해 우리가 시도할 수 있는 것이 교육이고, 그것을 잘 전달할 다문화교육 강사를 양성하는 것이다.”라며 “다문화 강사는 ‘정해진 내용의 전달’에서 나아가 다문화적 인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편견을 깰 수 있는 ‘직업적 소명의식을 가진 전문인’으로 양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움 현장
▲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정책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움 현장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