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인지도와 웹접근성 문제… 장애유형별 접근 가능한 환경을 조성 필요

장애인 등을 위한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이 실효성이 부족해 개선이 주문되고 있다.

지난 19일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무장애 여행 환경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된 열린관광지 조성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해야 된다.”고 지적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여행조사 보고서와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실시한 2020년 장애인 삶 패널조사에 따르면, 만 15세 이상 국민 중 93.9%가 국내여행의 경험이 있는 반면 장애인의 국내여행 경험률은 12.6%에 그쳤다.

수년간 열린관광환경 조성사업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여행 빈도 격차는 크게 벌어지고 있는 것.

김 의원은 “현실적으로 무장애관광은 이뤄지지 않은 것.”이라며 “이러한 간극을 좁히기 위한 정부의 주요 장애인 여행사업인 열린관광지에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꼽은 첫 번째 문제점은 ‘낮은 인지도’다.

장애인 여행을 지원하는 초록여행의 장애인 대상 관광여행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열린관광지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6%, 들어본 것 같다는 응답자는 27.9%, 잘 모른다는 응답은 64.5%에 달했다. 인지도가 낮으면 자연스럽게 이용률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다음은 관광지 누리집의 ‘웹접근성’ 문제다.

웹접근성에 따라 정보 습득의 양과 질의 차이는 분명하다. 웹 접근성이 준수되지 않으면 관광지 자체 특성뿐만 아니라, 장애인을 위한 어떠한 편의시설이 제공되는지 파악조차 할 수 없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의 2021년 관광환경 모니터링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대체텍스트는 시각장애인의 웹접근성에 필수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공하지 않거나 일부 누락 된 곳이 많았다. 더욱이 팝업이나 새창 등 일시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웹 접근성을 저하해, 전자정보 접근권 기반 확충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특히 관광지 ‘편의시설 이용문제’도 거론된다.

관광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동등하게 관광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열린관광지 내 시·청각장애인에게 제공되는 편의시설이나 지원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2020년 관광환경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의 경우 유도블록은 물론 그 어떤 유도 및 안내시설과 점자 안내판이 턱없이 부족했으며, 청각장애인의 경우 열린관광지 내에서 자막 또는 수어지원을 받기 어려워 진행되는 체험 또는 이용시설 이용에도 제약을 받았다. 모든 장애유형이 접근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이에 김 의원은 “장애인이 혼자 여행할 수 있고, 더 많은 장애인들이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무장애관광 환경이 조성되기 위해 모니터 결과를 반영해야 한다.”며 “장애 유형에 따라 장애 당사자의 검수 과정을 거쳐 내실 있는 사업 진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보완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정두리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