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과 입석 승객이 차지한 휠체어석… 기차 이용 시 어려움 많아

기차표 구매에서부터 착석까지, 불편의 연속인 장애인의 기차 이용에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한국철도공사에 전동휠체어 좌석 표시 시인성을 강화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 탑승 거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토록 요청했다. 수동휠체어 좌석의 일반좌석 전환 문제도 해결하도록 요청했다.”며 “에스알에는 휠체어 좌석 ‘선물하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기차 내 휠체어석에 짐이 놓여 있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
기차 내 휠체어석에 짐이 놓여 있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

휠체어석과 할인 등 제도있지만, 장애인들의 기차 이용은 ‘불편’

장애인의 원활한 기차 이용을 위해 다양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다.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법에 의거해 고속철도(KTX, SRT)에는 편당 수동휠체어석 3석 이상과 전동휠체어석 2석 이상을, 일반철도(무궁화호 등)는 휠체어석 4석 이상 설치해야한다. 전용좌석 부근에는 휠체어 보관 장치와 장애인전용화장실 등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편의가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라서는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기차표 예매 시 일정 비율 할인된 가격으로 예매할 수 있다.

다양한 제도 덕분에 기차를 이용하는 장애인도 많다.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2021)에 따르면, 장애인의 8.1%가 지역 간 이동 시 ‘기차’를 주로 이용한다고 답했다. 자동차나 버스 다음으로 많았다.

하지만 제도 운영상에 문제가 나타나 기차 이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차표를 예매하고 착석하는 데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좌석으로 전환되는 수동 휠체어석… 표 대리구매도 어려워

먼저 예매 시 불편함이다.

수동휠체어석은 출발역에서 출발하기 전에 예매하지 않는 이상 자리 확보가 어렵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에 따르면, 출발역 기준 출발 30분 전까지 수동휠체어석이 비어있다면 일반좌석으로 전환돼 비장애인도 수동휠체어석 구매가 가능하다. 수동휠체어석은 일반좌석과 동일하지만 휠체어 보관함이나 장애인화장실이 가깝기에 편리하다.

이런 이유로 중간 지점에서 수동휠체어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예매 기회조차 사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표를 대리구매 하는 것도 쉽지 않다. 휴대폰 어플로 실시간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애인 중에는 손 사용하기 어렵거나 보호자가 구매해야하는 등 직접 구매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KTX는 비장애인이 휠체어석 표를 구매하고 선물할 수 있게 돼있으나, SRT는 해당 기능을 사용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입석 승객에 짐까지 자리 잡은 전동 휠체어석 ‘산 넘어 산’

어렵게 표를 구해도 기차 내에서는 또 다른 산을 마주하게 된다.

전동휠체어 좌석은 시인성이 높지 않아 다른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동휠체어석은 의자가 따로 없이 전동휠체어를 고정하는 설비만 갖추고 있어 얼핏 빈 공간으로 오해하기 쉽다. 좌석에 대한 안내표지마저도 작게 붙어있어 전동휠체어석임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 빈 공간으로 알고 짐을 둔 비장애인 승객과 다툰 사례도 있다는 것이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의 설명이다.

짐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이 전동휠체어석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발생한다. 전동휠체어석에 입석 승객들이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당하게 표를 구매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열차에 탑승하려 하자 ‘입석 탑승객이 너무 많다’며 탑승 거부를 당한 사례도 있었다.

다양한 제도적 장치는 마련돼 있지만, 예매와 착석 같은 기초적 요소가 ‘삐그덕’대고 있어 험난하기만 한 장애인의 기차 이용.

이에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한국철도공사에 전동휠체어 좌석 표시 시인성을 강화하고 휠체어 이용 장애인 탑승 거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토록 요청하고, 수동휠체어 좌석의 일반좌석 전환 문제도 해결하도록 요청했다. 또 에스알에는 휠체어 좌석 ‘선물하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

한편,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20명의 장애인단체 실무책임자이자 장애전문가들이 모여 일상 속 문제해결을 위해 논의하고 건의하는 회의다.

해당 안건에 대한 진행 경과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누리집(kodaf.or.kr) 제도개선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정두리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