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복지센터 지원인력 10명 중 6명은 ‘기간제’
직원 한 사람이 정신질환 사례관리자 106명 관리하기도
최혜영 의원 “다변화하는 정신건강 복지 수요 파악해 체계 개선해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10일 정신건강의 날을 맞아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현황을 살펴본 결과, 여전히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대응 인프라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질환자 등록과 사례관리, 재활 등 중증 정신질환자에 대한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다양한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과 상담을 제공해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증진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1998년 모델형 운영사업으로 시작된 정신건강복지센터는 17개 광역센터와 247개 기초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등록 사례관리자는 총 8만7,910명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의 ‘2022년 광역·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별 인력 운용 현황’에 따르면, 전체 종사자 4,563명 중 정규 또는 무기계약직이 1,563명(34%), 계약·기간제는 3,000명(66%)으로 주요 직역 중에서는 사회복지사의 기간제 근무 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간호사와 임상심리사 등 의료 직군과 달리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지원하고 상담하는 직역으로, 서비스 대상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나 인력 대부분이 기간제로 근무하고 있어 업무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최혜영 의원실
ⓒ최혜영 의원실

센터별 업무 부담 역시 편차가 심했다. 전국 평균 센터별 종사자는 17.2명, 종사자 1인당 사례관리자 수는 25.3명이었으나, 센터 중 일부는 106명까지 전담하는 곳도 있어 기관에 따라 전국 평균의 2배~4배까지 관리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함께 사업마다 필요한 인력도 제대로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마약류 등 물질중독(2019년 9,610명 → 2021년 9,557명)이나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회적 재난에 대한 관리·지원을 담당할 인력이 충분치 않았다. 

실제로 참사가 일어난 지역을 관할하는 서울 용산구정신건강복지센터는 자살이나 재난관리, 위기대응 업무를 담당하는 인원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정신질환을 경험하거나, 혹은 정신질환자를 가족으로 둔 가정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먼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기관인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인력이 부족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대로 받을 수 없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인력 충원과 지원 계획을 마련하고, 정신건강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나오고 있는 만큼 체계를 정비해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