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정책차원의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응급의료체계는 응급환자의 예방 가능한 사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응급의료센터에서 사망한 외상환자 중 50.4%는 예방 가능한 사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과다한 응급의료센터에 비해 진료수준은 열악한 실정으로 외상사망환자의 30%가 선진국 수준의 진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는 환자이거나 장애예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응급의료체계 개선과 응급의료기금 활용방안을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조경애 건강네트워크 대표는 이같은 내용를 골자로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조 대표는 응급환자는 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되는 것이 중요하나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된 환자 중 이송 의료기관 선정이 부적절했던 경우가 27∼4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공보건서비스인 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위해서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 응급의료 관련 지침개발 등과 같은 국가의 관리기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응급의료기관간 체계를 정비하고 병원에서의 응급서비스의 질을 규정하는 응급의료전문인력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밖에 △응급의료위원회 구성 △응급의료정보에 대한 대시민 홍보 등을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안으로 설명했다.
이신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사업단장은 응급의료기금이 2003년부터 정부출연금 434억원을 포함 475억원으로 대폭 확대되어 이를 통해 응급의료 전반적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물적 토대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응급의료기금을 조기사망과 상해를 예방 감소할 수 있는 포괄적 응급의료체계 수립하고 응급의료서비스를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