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산업혁명이 가져다준 변화는 가히 지구적이었다. 자본주의가 심화되어 물질만능이 팽배해졌고 더 많은 물질을 생산하고 소유하기 위해 전 지구를 욕망의 아궁이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인간의 소외문제는 극에 달해 계층간의 격차와 이로 인한 갈등은 더욱 심해졌고, 비인격적 자본가치에 의해 철저하게 상품화되었다. 또 우리가 호흡하고 살고있는 지구는 점점 더워져 삶의 질을 넘어 인류의 생존문제에 직면하게 될 桓좇甄�. 나아가 나라간 격차가 심해져 잘사는 나라일수록 이산화탄소 배출이 심하면서 그 피해는 못사는 나라의 몫이 되버려 기후난민들이 새로이 등장하고 있고, 생태지도가 바뀌고 있다. 이 모든 문제는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출발하여 결국 지구로부터 인류가 사형선고를 받은 거나 진배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오래전부터 기후 전문가들의 경고가 있어왔다. 그러나 자본이라는 헤게모니를 쥐기 위해 자본열강들은 지구전반에 온돌을 깔아 그 경고를 묵살해왔다. 그 대열에 우리나라도 이미 동승해 있다. 경제강국으로 급부상하면서 탄소배출의 순위권 국가가 된 것이다. 다행히도 우리정부는 그 경고에 대한 답을 내놨다. 바로 녹색성장정책이다.

환경에 부담을 덜 주면서 동시에 경제를 성장시키는 것이 녹색성장정책의 핵심이다. 이 정책을 실천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녹색성장으로 리모델링 중이다. 그러나 이 리모델링의 설계도에는 복지가 없다. 그저 정책의 그늘효과만 누려야하는 잔여적으로 회귀했다. 계획된 복지, 차별없는 복지가 아닌 결과로서 수용해야 된다면 녹색성장 시대의 복지는 결국 재시공의 시행착오가 될 것이다.

이 리모델링에 동참하기위해서는 사회복지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 국가보조금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각종 지원금에만 관심두는 복지는 클라이언트의 의존성과 다를 게 없다. 이는 인간중심의 복지모델로 소외계층만을 생각하는 반쪽복지가 될 것이다. 즉, 제도적 자선이라는 새로운 함정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소외계층이 겪고 있는 사회문제 - 질병, 빈곤, 실업, 장애, 노령 등 - 는 상호작용하여 악순환의 고리를 제공한다. 여기에 지구온난화로 인한 생태적 문제가 덧붙여진다면 더 복잡한 사회문제로 구조화될 것이다.

지구온난화라는 새로운 화두에 대한 복지계의 답이 신 패러다임이다. 이는 지구적 문제에 대한 지역사회적 실천과제를 수행해야 될 복지계의 책임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답에는 인간중심의 복지가 아닌 ‘환경속의 인간’을 전제로 새판을 짜는 것들이 들어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정책과 차별화된 지역 및 계층별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생태적 고려가 녹아들게끔 복지계의 대응이 필요하다. 즉, 녹색성장에 발맞춘 생태복지 프로그램이 전방위적으로 개발되야 한다. 그 대응분야로는 ▲생태복지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정부 및 지자체 예산확보방안 ▲대학에서의 생태복지에 대한 조사와 이론개발 ▲생태복지적 자원봉사분야 및 봉사자교육프로그램 개발 ▲생태복지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개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녹색성장형 사회공헌프로그램 개발 ▲복지관 및 시설단위의 생태복지 실천 프로그램개발 ▲녹색성장에 발맞춘 사회적 기업육성 ▲기후난민의 대량유입에 따른 대응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과거 개발시대에 우리국민이 복지를 양보하였다. 그 결과 지금은 연체이자까지 포함된 예산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그러나 생태복지는 녹색성장의 신성장동력으로써 정부부담을 줄여주고 분산할 것이다. 민간의 전문성과 책임을 높일 것이다.

이 새로운 공사판 설계도에 복지가 빠지지 않도록 복지계의 비상한 관심을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