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연금 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당 이낙연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연금 수급자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급장애인의 절반 이하만이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한국 갤럽이 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지난 1월 25~27일까지 장애인연금 수급자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한 결과 ‘장애인연금의 생활 도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75.0%가 ‘긍정적’이라고 답한 반면 ‘장애인연금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가 ‘부정적’이라고 답해 전반적인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연금 제도를 처음 알게 된 경로는 사회복지사 또는 공무원(26.5%)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복지부의 안내 우편물(24.8%), TV나 신문, 인터넷(17.7%)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뒤를 이었다.

장애인연금을 당사자 본인이 직접 신청한 경우는 38.4%로 가족이나 지인 등을 통해 대리신청(61.6%)한 경우가 훨씬 높았으며, 장애인연금 신청 시 담당 공무원의 친절도를 묻는 질문에 78.0%가 ‘친절하다’고 답했다.

장애인연금의 도입 및 연금 지급에 대해 묻는 질문에 전체의 65.8%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장애인연금 제도를 통해 생활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전체의 75.0%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반면 장애인연금 사업의 전반적인 평가를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만이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장애인연금의 수혜 대상자인 1급 장애인의 경우 38.8%만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46.9%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40대가 41.7%, 30대가 38.7%였으며, 20대가 33.1%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기록했다.

이낙연 의원은 “지난 주 복지부는 MB정부 출범 3년의 성과 중 하나로 장애인연금을 꼽으며 맞춤형 복지기반을 확립했다고 선전했으나, 채 반쪽도 안 되는 정책을 갖고 확립을 운운한 것은 잘못.”이라며 “한 달에 20만원도 안 되는 적은 연금, 도입 당시 무수히 제기됐던 등급 판정의 문제들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는 생색내기 조사가 아니라 구체적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를 통해 점차 개선해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