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시·도별 성평등 수준 측정하는 ‘지역 성평등지수’ 개발

2010년 기준 16개 시·도의 평균 성평등지수는 50.2점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여성가족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지역 성평등지수 표준안’을 연구·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역 성평등지수 표준안 연구’(2011년 5월~12월)에서는 전문가 조사 등을 통해 여성의 대표성 제고 등 4개 부문(① 여성의 대표성 제고, ②여성의 경제 세력화, ③여성의 삶의 질 제고, ④소외여성 사회통합) 17개의 지표를 구축했으며, 4개 영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다음 완전한 성평등 상태를 100점으로 가정해 점수를 산정했다.(가중치의 합을 1로 잡았을 때, 삶의 질 제고(0.37) > 경제세력화(0.23) = 사회통합(0.23) > 대표성 제고(0.17))

각 부문별 시·도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제 세력화 부문이 61.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삶의 질 부문이 57.1점, 소외여성 사회통합 부문이 52.7점 순이었다. 반면, 여성 대표성 부문은 17.0점으로 성 평등이 가장 낮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표성 영역에서 광역 및 기초단체장의 여성 비율이 낮은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4개 영역을 종합해 보면, 16개 시·도가 47.64점〜51.73점에 분포하고 있어 시·도별 격차가 크지 않았으나 각 부문별로는 격차가 크게 발생했다.

각 부문별로 지역 간 차이를 살펴보면, 여성의 대표성 부문은 지역별 편차가 가장 크고, 특별·광역시 지역이 도 지역보다 더 성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가 높게 나타났다. 대표성 영역의 성평등은 광역 및 기초 의회의원 성비,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장 성비, 5급 이상 공무원 성비로 측정했다.

여성의 경제 세력화 부문은 지역별 편차가 가장 작은 영역으로 성평등 수준이 높은 지역은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광주광역시로 나타났다. 경제세력화 영역의 성평등 수준은 고용률 성비, 남녀 임금격차, 관리자 성비, 전문직 성비로 측정했다.

여성의 삶의 질 제고 부문은 대체로 도 지역이 특별·광역시보다 더 성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라남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가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 영역의 성평등 수준은 가사노동시간의 성비, 가족관계 만족도 성비, 범죄피해에 대한 안전인식 성비, 가정폭력 여성피해자 수, 육아휴직 사용 성비로 측정했다.

소외여성 사회통합 부문에서 성평등 수준 상위 지역은 제주도, 광주광역시, 강원도, 충청북도로 나타났다. 소외여성 사회통합 영역의 성평등 수준은 기초생활보장자 성비, 공적연금 가입자 성비, 노후준비자 성비, 한부모가구 중 저소득가구 비율 성비로 측정했다.

이번 연구는 1998년부터 여성정책기본계획이 시행된 이후 여성정책이 실행 및 정착 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시·도별 성평등 정책의 효과와 성평등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역 성평등지수 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수행됐다는 게 여성가족부 발표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2012년 지역 성평등보고서’를 올해 말 발간할 예정이며, 통계청 등 관련 부처와 협력해 성별 분리가 필요한 지역통계의 발굴 노력도 함께 해나갈 계획이다.

여성가족부 이기순 여성정책국장은 “지역 성평등지수의 측정은 각 지역별로 여성정책 중 어느 영역에 더 힘써야 하는지 정책과제를 제시해주고, 어떻게 개선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지자체는 여성정책에 대한 지역주민, 정치인 및 공무원의 인식을 제고시키고,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