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민-관 합동으로 노후준비 지표 개발

우리 사회가 ‘인생 100세 시대’로 접어들어 가고 있지만, 일반 국민의 노후준비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6월 전국의 만 35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남녀 1,0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일반 국민의 노후준비 점수는 100점 만점에 55.2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54.8점, 여성은 55.6점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30대 52.9점, 40대 55.3점, 50대 57.0점, 60대 53.1점으로 연령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중졸이하 50.5점, 고졸 54.4점, 대졸 이상 58.2점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노후준비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인 상태별로는 기혼 56.9점, 미혼 42.8점, 이혼․별거․사별 43.9점으로 기혼의 경우 가장 노후준비수준이 높았다.

주거지역별로는 대도시 54.8점, 중소도시 55.4점, 농어촌 55.7점으로 주거지 규모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직종별로는 화이트칼라(관리자 및 사무직)가 59.1점으로 준비수준이 가장 높은 반면, 블루칼라집단(기능․장치․기계․조립 분야)은 노후준비점수가 53.8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았다.

영역별로는 대인관계 63.9점, 건강한 생활습관 68.2점, 소득과 자산 40.5점, 여가활동 48.1점으로 나타나 건강에 대한 노후준비도가 가장 높고 소득과 자산에 대한 노후준비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의 경우 건강상태는 양호하지만 건강생활 습관이 다소 실천적이지 못한 유형이 42.6%로 가장 많고, 건강상태가 양호하며 일상생활에서 건강관리를 실천하는 유형이 41.9%로 조사됐다.

‘여가’의 경우는 노후 여가에 대한 인식 및 준비에 대한 관여도가 낮고 현재 여가생활도 소극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유형이 64.1%로 가장 많았으며, 노후여가에 대한 인식과 준비에 대한 관여도가 양호하고 현재의 여가활동도 적극적인 유형이 21.2%로 집계됐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올해 하반기 일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넓혀 조사를 실시해 일반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노후준비지표를 확정하고, 이를 활용해 준비가 부족한 영역을 확인한 후 다양한 지원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국민연금공단 및 보건복지서비스 제공인력을 통한 맞춤형 노후설계 지원서비스 제공 ▲온라인 진단 프로그램 및 스마트폰 앱 개발·보급 ▲‘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가칭)’ 제정을 통한 생애전환기별 1회 이상 노후설계교육 이수 등이 진행된다.

보건복지부 이재용 고령사회정책과장은 “민간보험사도 그 동안 은퇴준비지수를 개발해왔기 때문에 민·관이 협력함으로써 더 발전된 지표를 만들 수 있었다.”며 “앞으로는 민간보험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전국민의 노후준비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