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정보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일상생활 불가능할 정도로 정보 이용 어려워

취업 준비를 하는 시각장애인 ㄱ 씨는 토익 점수를 높이기 위해 유명한 어학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인터넷 강의를 수강 신청하려면 회원 가입을 해야 하는데, 회원 가입을 하려는 순간 화면 낭독 프로그램 안내가 멈췄다.

이 어학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 접근성은 수강 조회까지였다.

결국, ㄱ 씨가 혼자 토익 수강 신청을 할 방법은 없었다.

 

대구에 사는 시각장애인 ㄴ 씨는 근처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을 대비하기 위해 국가에서 관리하는 재난 안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했다.

지진 발생 시 장소별 행동 요령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고 했지만, 이 정보에 대한 화면 낭독 프로그램은 없었다.

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정보 접근성은 메인 화면까지였다.

결국, ㄴ 씨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재난 안전에 관한 정보를 습득해야 했다.

 

시각장애인이 홈페이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정보를 얻는 게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부설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이하 센터)는 시각장애인 등 정보 취약 계층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디지털정보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2016년 시각장애인 등 정보 접근성 취약 계층 접근성 실태조사’를 시행했다.

시각장애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 욕구가 높은 ▲국내취항 해외항공사, 쇼핑몰, 호텔, 민원, 교육, 배달-온라인 주문, 체육협회, 가전 쇼핑몰 등 홈페이지 70개 ▲구인, 안전, 인터넷쇼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3개 등 총 83개를 선정해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는 국가 표준에 근거해 전문가 심사와 이용자 심사를 병행했다.

조사 결과 홈페이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대부분의 정보 접근성이 매우 취약했다.

▲ 2016년 분야별 홈페이지 정보 접근성 준수 실태(평균)
▲ 2016년 분야별 홈페이지 정보 접근성 준수 실태(평균)

홈페이지는 70개 중 가전쇼핑몰(82.1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민원(71.7점) △호텔(68.9점) △배달-온라인주문(66.5점) △국내취항 해외항공사(64.4점) △체육협회(63.8점) △쇼핑몰(60.2점) △교육(45.9점)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 분야는 모든 홈페이지에서 정보 접근성이 준수되지 않았고, 평균 수준은 최하점인 45.9점으로 나타났다.

회원가입조차 어려웠으며, 주요 서비스인 수강 신청도 불가능했다.

이는 시각장애인의 기본 교육권이 침해당하는 상황으로 개선·보완이 시급하다.

또한, 국내취항 해외항공사와 호텔은 시각장애인이 주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어려움이 많았다.

예약 시스템을 이용하기 어려웠으며, 숙박시설 위치 확인과 사용 가능한 시설의 이용 수칙을 확인하기가 불가능했다.

이러한 이유로 시각장애인들은 연휴 기간에 여행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 2016년 분야별 모바일 정보 접근성 준수 실태(평균)
▲ 2016년 분야별 모바일 정보 접근성 준수 실태(평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안전(76점) △구인(71.7점) △인터넷쇼핑(54.1점) 순으로 모두 미흡한 수준이었다.

인터넷쇼핑의 주요 서비스인 상품을 구매하고 취소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것도 불가능했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안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평균 76점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시각장애인이 지진, 홍수 등 재난에 대비한 정보와 재난 안전 문자 등을 원활하게 습득할 수 없었다.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재나 안전사고 등의 위기에 대처할 정보를 얻는 기능도 이용할 수 없었다.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 안동환 팀장은 “정보 접근성은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라며 “이번 정보 접근성 실태 조사를 계기로 꾸준히 모니터링 대상을 넓혀 정보 접근성 심사를 이어갈 예정이며, 장애인과 취약 계층의 정보 접근성 권리를 위해 민간·공공기관의 개선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