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처음으로 ‘사회복지시설 평가결과’ 공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은 직원 수는 평균 3~4명으로 적은데다 예산과 시설도 열악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1999년부터 보건복지부 주도로 실시돼온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대한 평가권한을 이양 받아 사회복지관 97개소, 노인복지관 35개소, 장애인주간보호시설 121개소에 대한 서울형 평가를 최초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했다.

충실 이상의 분포율은 사회복지관 90.5%, 노인복지관 90.2%, 장애인주간보호시설 65.4%이다.

평가지표의 등급은 ▲계량지표는 3단계(탁월-충실-미흡) ▲비계량지표는 4단계(탁월-충실-보통-미흡)로 나눠진다.

평가 결과 ‘충실’ 이상 점수는 사회복지관 90.5%, 노인복지관 90.2%…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충실 이상은 65.4%

먼저 사회복지관(97개소)의 평가결과, 충실 이상이 90.5%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시설과 환경관리와 인적 자원 관리 등 관리 지표는 충실 이상의 평가결과가 91.0%로 매우 높았으며, 사업 역량 지표는 충실 이상의 평가 결과가 88.7%로 나타났다.

노인복지관(35개소)의 평가결과 관리지표, 조직역량지표, 사업역량지표에서 90.2%가 충실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관리 지표 부문에서 충실 이상의 평가결과는 91.6%로 노인 복지에 대한 복지관의 사업 기반이 탄탄하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환경변화 이해와 대응 등 조직 역량 지표에서도 90.5%가 충실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경우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에 비해 운영 충실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충실 이상의 평가를 받은 비율은 65.4%다.

조직 역량의 충실비율 60.3%, 사업 역량 충실비율 54.1%로 나타난 것은 직원이 평균 3~4명에 불과하고 예산과 시설이 열악하기 때문으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발전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시는 평가를 받는 시설 현장과의 접점 확대를 위해 평가지표 개발단계에서 평가지표 공청회, 평가 준비 단계에서 평가 설명회, 평가 종료 단계에서 평가결과 공유회를 열어 서울형 평가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 현장의 목소리와 의견수렴, 결과 공유를 통한 현장의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서울형 평가를 통한 사회복지현장의 능동적인 양적·질적 변화 추진”

서울시는 서울형 평가결과를 시립 사회복지시설 위탁체 선정심사에 반영하고, ‘미흡’으로 평가된 분야에 대해 사후 품질향상 지원 컨설팅을 추진, 평가결과의 실효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추후 개별 시설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시설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며 자치구 간의 시설운영 편차도 감안, 공통적인 욕구와 의견을 수렴해 그룹 컨설팅도 도울 계획이다.

이번 서울형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대해 시는 △사회복지시설의 공공성과 투명성 제고 △서울형 평가를 통한 사회복지현장의 능동적 변화 추진 △평가단 의견의 구체적 공개를 통한 시민의 알권리와 선택권 보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이번 평가결과에 대한 의견 교환과 자성을 통해 자율적 개선 노력을 바탕으로 대내외 변화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시설의 양적·질적 변화의 방향을 수립에 나선다.

더불어 시민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설 정보를 받는 것이 향후 복지서비스 선택권 향상과 삶의 질 증진에 얼마나 이바지할 것인지 예측하고 연구하는 동시에 다음 평가결과를 통해 개선점을 비교·확인하고 사회복지시설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서울시 황치영 복지정책실장은 “지역사회복지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강점을 특화하고 보완점을 메우며 사회복지시설의 공공성을 강화, 사회복지현장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개별시설의 평가 결과는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복지/자료실/법인시설정보공개)를 통해 공고된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