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부, 8월 24일~25일 장애인권리협약 병합 심의
장애계, 장애인 등급제와 탈시설 등 이슈 전달 위해 나서

비공개 면담 이후 대응전략을 수립 중인 한국 장애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한국정부심의 대응 장애계연대
비공개 면담 이후 대응전략을 수립 중인 한국 장애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한국정부심의 대응 장애계연대

장애계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심의 대응을 위한 움직임에 돌입했다.

지난 23일 유엔장애인권리협약 한국정부심의 대응 장애계연대(이하 장애계연대)는 제27차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세션에서 장애계 이슈 전달을 위해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 15일~다음달 15일까지 열리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세션에서는, 오는 24일~25일 이틀간 우리나라의 제2·3차 병합 심의도 예정됐다. 2014년 1차 국가보고서에 대한 심의가 진행된 이후 8년 만의 심의다.

당시 장애인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연대의 노력으로 한국의 주요 문제인 ▲의료적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장애인복지법과 관련 제도 ▲선택의정서 비준 유보 ▲건물 면적이나 건축 일자에 따라 적용되는 편의시설 설치 의무 ▲반복되는 장애인 폭력, 노동력 착취 실태와 가해자 처벌 미흡 ▲효과적인 탈시설 전략 부재 ▲특수학교와 통합학교 실태 ▲최저임금 적용 제외 문제 ▲무분별한 시설 수용과 비인권적인 운영 실태 ▲유명무실한 장애인정책조정위원회 등의 내용이 전달됐다. 

이후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는 이에 대한 우려와 권고사항을 1차 최종견해로 발표했다.

장애계연대는 보고서 작성, 사전 로비, 현지 로비 등을 통해 1차 최종견해 이후 별반 진전된 바 없는 정부의 이행을 세세히 지적한 바 있다.

이에 주요 이슈인 △의료적 모델의 장애등급제, 등록제 △코로나19, 기후변화 등에 있어 장애포괄적 대응 미흡 △자폐성장애인 등에 대한 프라이버시 침해 △장애여성에 대한 전반적 이슈 △만연한 성년후견제 △미흡한 사법 접근성 △장애아동 폭력, 교육 △정신장애인 비자의 입원 등 자기결정권 억압 △탈시설과 자립생활 △이동권 △노동권 △장애 가족 구성권 침해, 돌봄 부담 전가 △형식적인 통합교육 등을 선별해 지난 22일에 진행된 비공개 면담에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에 정보를 전달했다. 

이밖에도 건강권, 참정권, 주거권, 문화향유권, 당사자 참여, 장애아동, 정신장애인을 비롯한 소수 장애인 소외, 장애 관련 통계, 이행·모니터링 체계 등 한국의 실태를 담은 병행보고서가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에 전달됐다. 

또한 보고서 분량 제한으로 충분히 담지 못한 내용을 보완하거나, 특별히 강조해야 하는 이슈를 다루는 로비문서도 추가로 제출됐다.

한편, 장애계연대는 지난 21일 장애계와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협업을 조율하는 국제장애인연맹(IDA)과의 미팅으로 본격적인 일정에 돌입했다. 

지난 22일 비공개 면담 이후 23일에는 일본과 뉴질랜드 심의를 참관하며 전략을 수립했다. 한국정부 심의가 마무리되는 오는 25일에는 온라인으로 기자회견이 진행된다.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